업비트, MOODENG 원화·BTC·USDT 마켓 상장
업비트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7월 3일 17시(예정) 무뎅(MOODENG)을 원화, BTC, USDT 마켓에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가장빠르고 정확한
24시간 크립토 뉴스
코인니스
업비트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7월 3일 17시(예정) 무뎅(MOODENG)을 원화, BTC, USDT 마켓에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비트멕스 공동 설립자 아서 헤이즈가 블로그를 통해 “많은 금융 전문가들이 미국 채권 매입을 추천하지만, 이를 따르는 것은 과거의 실수를 되풀이 하는 것이다. 비트코인을 매수하는 것이 똑똑한 선택”이라고 밝혔다. 그는 “중앙은행이든 재무부든 결국 시중에 돈을 뿌릴 것이고, 금리가 하락할 수도 있다. 하지만 채권 수익률은 미미한 수준을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채권으로 5~10% 수익률을 기대할 바에는 비트코인이나 나스닥에 베팅하는 것이 좋은 선택”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그는 “정부가 스테이블코인 시장을 육성하는 것은 서클과 같은 핀테크 기업을 위한 것이 아니라, 대형 은행에게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한 유동성 무기를 넘겨주기 위한 것일 가능성이 크다. 은행의 국채 매입을 위한 유동성 확대 장치인 셈이다. 많은 이들의 연준의 양적완화 시그널을 기다리고 있지만, 이미 시장에는 유동성이 풀리고 있다. 서클이 아니라 정부와 은행 중심의 스테이블코인 흐름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비트코인 파생상품 시장이 활발해지면서 추가 상승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분석했다. 매체는 “BTC 미결제 약정(OI)은 약 32억 달러 증가했으며, 새로 추가된 포지션은 대부분 롱 포지션인 것으로 집계됐다. 또 OI가 증가했음에도 펀딩 비율은 큰 변동 없이 유지, 시장 레버리지 수준도 과도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렉트 캐피털은 "BTC는 이번 주말이면 주요 저항선인 109,300 달러를 성공적으로 돌파할 것이며, 새로운 가격 발견 구간으로 진입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빗썸에서 입출금이 일시 중단된 로닌(RON)에 이상 급등이 발생했다. 빗썸 원화 마켓에서 RON은 약 380% 급등한 2,950원대에 거래되고 있다. 빗썸은 앞서 7월 3일 10시 RON의 메인넷 업그레이드로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한 바 있다. 바이낸스와의 가격 차이(김치 프리미엄)는 약 350%다.
코인원이 인젝티브(INJ) 메인넷 변경 및 스왑을 위해 3일 12시 45분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OKX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오늘 15시(한국시간) H/USDT, 15시 15분 AERO/USDT, 15시 30분 SYRUP/USDT 무기한 선물을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최대 50배 레버리지를 지원한다.
빗썸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히포 프로토콜(HP)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지원에 따라 이달 14일 15시부터 HP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뉴시스에 따르면 한컴위드는 관계사 아로와나허브를 통해 금 스테이블코인을 중심으로 하는 실물연계자산(RWA) 사업에 진출한다고 3일 밝혔다. 아로와나허브는 “아로와나골드토큰(AGT)의 안정적인 금 시세 연동과 담보 증명을 위해 '체인링크'의 오라클(국제 금 시세 연동) 및 제 3자의 감사를 통한 준비금 증명(PoR)시스템을 적용했다. 아로와나허브는 AGT의 발행에서부터 각종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자체 플랫폼을 개발해왔으며, 이 달 내 베타 테스트(CBT)를 진행한다”고 설명했다.
최근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및 청산 비율은 다음과 같다. BTC 청산 규모: $1억 646만, 청산 비율: 숏 93.27% ETH 청산 규모: $9247만, 청산 비율: 숏 89.76% SOL 청산 규모: $884만, 청산 비율: 숏 70.04%
트레이더T에 따르면 2일(현지시간) 미국 이더리움 현물 ETF에서 149만 달러(20억원)가 순유출됐다. 4거래일 만에 순유출로 전환했다. 블랙록 ETHA에서 4,656만 달러가 빠져나간 반면, 피델리티 FETH에 2,580만 달러, 비트와이즈 ETHW에 833만 달러, 그레이스케일 미니 ETH에 810만 달러, 반에크 ETHV에 284만 달러가 순유입됐다.
이재명 대통령이 미국과의 상호관세 협상에 "7월 8일까지 끝낼 수 있는지도 확언하기 어렵다"고 말했다고 한겨레가 전했다. 이 대통령은 취임 30일 기념 기자회견에서 "관세협상이 매우 쉽지않은 건 분명하다. 한·미가 최선을 다하고 있고 또 쌍방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그야말로 호혜적인 그런 결과를 만들어 내야하는데, 아직까지도 쌍방이 정확하게 뭘 원하는지가 명확하게 정리되지는 못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페이팔 전 CEO이자 억만장자 투자자인 피터 틸을 비롯한 테크 분야 인사들이 상업은행 에레보르(Erebor)를 설립한다고 디크립트가 전했다. 에레보르는 지난 2023년 파산한 암호화폐 연계 은행 SVB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설립됐으며, 인공지능(AI), 암호화폐, 제조업 분야 스타트업 지원을 목표로 한다.
8년 휴면 고래가 9시간 전 4,123 ETH(1,051만 달러)를 제미니로 입금했다고 앰버CN이 전했다. 해당 고래는 2017년 제미니와 크라켄을 통해 총 21,662 ETH를 평단가 569 달러에 매집했으며, 현재까지 6,361 ETH(1,603만 달러)를 제미니로 입금했다. 일반적으로 거래소 입금은 물량 매도 목적으로, 출금은 보유 목적으로 해석된다. 단, 거래소 입금이 반드시 물량 매도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트레이더T에 따르면 7월 2일(현지시간) 미국 BTC 현물 ETF에 4억 777만 달러(5428억원)가 순유입됐다. 1거래일 만에 다시 순유입 전환이다. 피델리티 FBTC에 1.83억 달러가, 아크인베스트 ARKB에 8,300만 달러가, 비트와이즈 BITB에 6,494만 달러가 순유입됐다.
코인원이 2018년 10월 시스템 오류로 발생한 비트코인 중복 인출 사건 민사소송 항소심에서 승소했다고 이코노미스트가 단독 보도했다. 서울서부지방법원 제2민사부는 지난 5월 코인원의 청구를 전부 인용했다. 이에 따라 당시 코인원에서 BTC를 중복 출금한 이용자들은 BTC 원물을 그대로 코인원에 반환하게 됐다. 코인원 원화마켓 기준 2018년 10월 BTC 시세는 약 708~787만원 수준으로, 현재보다 20배가량 낮은 가격이다.
KB국민카드가 스테이블코인 관련 상표를 대거 출원하면서 원화 스테이블코인 시장 선점을 위한 상표권 경쟁이 카드업계로 확산되고 있다고 머니S가 전했다. KB국민카드는 이달 1일 'KBCSTB', 'KBCST', 'KBCKRW' 등 스테이블코인 관련 상표권 35개를 출원했다. 카드사로는 신한카드에 이어 두 번째 상표권 출원이다.
미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 공화당(Financial Services GOP)이 다음 주 암호화폐 시장 구조 법안(CLARITY)에 관한 청문회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크립토 인 아메리카 진행자 엘리노어 테렛이 전했다. 청문회에는 브래드 갈링하우스 리플 CEO, 크리스틴 스미스 블록체인협회 CEO, 조나단 레빈 체이널리시스 CEO 등이 증인으로 출석한다.
비트코인이 사상 최고가에 근접했음에도 파생상품 시장에서는 신중한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진단했다. 매체는 “BTC는 105,200 달러 지지선을 리테스트한 후 109,000 달러를 돌파했다. 현재 비트코인은 사상 최고가 대비 불과 약 2% 낮은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BTC 파생상품 지표를 보면, 트레이더들은 여전히 강세 베팅에는 조심스러운 모습이다. 비트코인 선물 프리미엄도 중립 수준인 5%를 밑돌았다. 시장을 낙관하는 심리가 크지 않다는 방증이다. 또 암호화폐 옵션 거래소 데리비트의 BTC 옵션 1개월 델타 스큐(풋-콜 비율)는 0% 수준을 유지하며, 전반적으로 미온적인 시장 분위기를 반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코인데스크 데이터에 따르면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들의 지난 1년(6월 기준) 매출이 100억 달러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테더가 65억 6,000만 달러로 가장 많았고, 이어 서클 18억 9,000만 달러, 스카이프로토콜 3억 8,400만 달러, 아테나는 3억 3,200만 달러를 기록했다.
가상자산 종합 정보플랫폼 코인마켓캡의 '알트코인 시즌 지수'가 전날보다 3포인트 상승한 24를 기록했다. 알트코인 시즌 지수는 시가총액 상위 100개 코인(스테이블·랩트 코인 제외)과 비트코인 간 가격 등락률을 비교해 책정된다. 상위 100개 코인 중 75%의 상승률이 지난 90일 동안 비트코인 상승률보다 높으면 알트코인 시즌, 반대의 경우 비트코인 시즌으로 판단한다. 100에 가까울수록 알트코인 시즌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