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빠르고 정확한 24시간 크립토 뉴스 코인니스

지케이싱크, ZK 바이백 소각 등 추진

지케이싱크 설립자 알렉스가 온체인 수수료, 오프체인 라이선스로 창출된 수익을 ZK 토큰 가치를 높이는 데 사용하자는 안건을 올렸다. ZK 바이백, 소각, 스테이킹 보상, 생태계 자금 지원 등으로 사용한다는 계획이다. 안건은 추후 커뮤니티 피드백을 받을 예정이다.

BTC 롱 홀더 지불 펀비, 8월 대비 62% 감소

글래스노드는 "BTC 롱포지션을 보유한 투자자들이 지불하는 펀비는 8월 중순 월 3.38억 달러에서 현재 1.27억 달러로 62% 가량 감소했다. 투자자들이 롱포지션을 유지하기 위해 비용을 지불하는 것을 꺼리면서 투기적 성향이 낮아지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전했다.

분석 "장기투자자 매도 압력 안 커"

비트코인이 균형 잡힌 횡보장으로 기울고 있으며 새로운 재료가 나타나기를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라고 애널리스트가 진단했다. 크립토퀀트 기고자 아랍체인은 "비트코인이 이평선 아래에 있는데 이는 최근 며칠 동안의 완만한 매도 압력, 상승 모멘텀 둔화를 반영한다. 미실현 손실 지표는 0.06으로, 이전에 비해 상당히 낮은 수준이다. 바이낸스 트레이더 중 소수만이 손실을 보고 있음을 나타낸다. 즉 시장은 아직 대규모 손실/매도 단계에 진입하지 않았다. 장기 투자자의 매도 압력이 크지 않은 상황이므로 이평선 위로 가격이 회복된다면 상승 모멘텀이 다시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10만 달러를 하회할 경우 본격적인 조정장이 시작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미국 셧다운 35일째...사상 최장

미국 정부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이 35일째로 접어들며 역사상 가장 긴 셧다운이 됐다고 솔리드인텔이 전했다.

미국 셧다운 35일째...사상 최장

미국 정부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이 35일째로 접어들며 역사상 가장 긴 셧다운이 됐다고 솔리드인텔이 전했다. 예측시장 칼시에 따르면 셧다운은 44일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유펙시 9/10 이후 8.9만 SOL 추매

솔라나(SOL)에 투자하는 나스닥 상장 전자상거래 업체 유펙시(Upexi)가 9월 10일 이후 8만8750 SOL을 추가 매수했다고 더블록이 보도했다. 보유량은 210만6989 SOL이다. 유펙시 mNAV는 약 0.7 수준이다. mNAV는 기업의 시가총액이 보유한 암호화폐 가치 대비 시장에서 어느 정도 프리미엄 또는 할인되어 거래되는지 나타내는 지표다. 1을 초과하면 고평가, 1 미만은 저평가로 해석된다.

익명 고래, ETH 매집 중

룩온체인은 "한 익명 고래가 공격적으로 ETH를 매집 중이다. 2주 전 이 고래는 아베에서 6.1억 USDC를 담보로 6.6만 ETH를 빌린 뒤 바이낸스에 입금했다. 그리고 지난 이틀 동안 그는 바이낸스에서 17만4166 ETH를 출금했다. 6.21억 달러 규모다. 부채를 상환한 후에도 여전히 10만8105 ETH를 보유 중이다. 이익은 2900만 달러 이상"이라고 전했다.

암호화폐 업계, 유럽증권당국 중심 규제 강화에 반발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가 암호화폐 부문 감독 권한을 유럽증권시장감독청(ESMA)에 부여하는 방안을 담은 초안을 준비 중인 것을 두고 암호화폐 업계가 강력 반발하고 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이와 관련해 디파이 대출 프로토콜 모포(MORPHO) 공공정책 책임자 포스틴 플뢰레(Faustine Fleuret)는 "ESMA에 규제 권한을 과도하게 부여하면 유럽의 암호화폐 및 핀테크 산업 혁신 속도가 둔화될 수 있다. 모든 인가와 감독을 ESMA가 전담할 경우, 막대한 자원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스타트업이나 신흥 프로젝트의 의사결정 속도와 유연성이 떨어질 것이다. 특히 자국 규제 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이 필수적인 초기 단계 기업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애널리스트 “BTC 현물 ETF, 2보 전진에 1보 후퇴…지금은 후퇴중”

블룸버그 ETF 전문 애널리스트 에릭 발추나스가 X를 통해 “BTC 현물 ETF는 2보 전진에 1보 후퇴한다. 2보 전진했으니 지금은 1보 후퇴할 때다. 블랙록 BTC 현물 ETF인 IBIT도 비슷한 움직임이다. 물론 더 많이 후퇴할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이는 모든 성장 과정 중 하나다. BTC 현물 ETF가 매일 순유입을 기록할 수만은 없는 일”이라고 전했다.

스테이블코인 결제 플랫폼 징크, $500만 투자 유치

스테이블코인 결제 인프라 플랫폼 징크(Zynk)가 하이브마인드 캐피털 주도 시드 라운드에서 500만 달러 투자를 유치했다고 더블록이 보도했다. 이번 라운드에는 코인베이스 벤처스, 얼라이언스 DAO 등이 주요 투자자로 참여했다. 투자금은 사업 영역 확장, 유동성, 기술 및 규제 준수 인프라 강화 등에 사용될 예정이다.

비트코인 채굴자 수익 지표 4월 이후 최저

비트코인 채굴자가 얻는 수익을 나타내는 해시프라이스(hash price)가 지난 4월 이후 최저 수준으로 급락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현재 해시프라이스는 43.1 달러로, 비트코인이 7.6만 달러에 머물렀던 4월 수준과 유사하다. 매체는 "비트코인이 10월 최고점 대비 20% 하락해 10.4만 달러선으로 조정된 가운데, 거래 수수료가 약세장 수준에 머물면서 채굴자들의 수익성이 큰 압박을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분석 “스트림 파이낸스 사태, 다른 프로토콜로 리스크 전이 위험”

디파이 플랫폼 스트림 파이낸스(Stream Finance)가 외부 펀드 매니저 운용 자산에서 약 9300만 달러의 손실을 입은 가운데 디파이 리서치 그룹 일드앤모어(Yields and More)는 이번 피해가 다른 프로토콜로 전이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일드앤모어는 “현재까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스트림파이낸스와 연동돼 있는 자금 가운데 약 2억 8400만 달러가 잠재적 위험에 놓인 것으로 나타났다. 오일러와 사일로, 엘릭서, 트리브 등이 특히 위험한 상태다. 이 중에서도 엘릭서는 스테이블코인 deUSD의 준비금 자산 중 약 65%가 스트림 파이낸스에 연결돼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달러 인덱스, 3개월래 최고

달러 인덱스(DXY)가 3개월 만에 최고치인 101.174까지 상승했다고 월터 블룸버그가 전했다.

59,999 ETH 이체... 바이낸스 → 익명

웨일 얼럿에 따르면, 바이낸스 주소에서 익명 주소로 59,999 ETH가 이체됐다. 2.1억 달러 규모다.

Hut 8, 올 3분기 BTC 보유량 13696개

비트코인 채굴업체 Hut 8이 3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 비트코인 보유량이 1만3696개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10월 암호화폐 업계 $45억 투자유치…전년比 484%↑

올해 10월 암호화폐 업계 투자유치 건수는 75건으로 집계됐다고 우블록체인이 전했다. 이는 전월 대비 21% 증가한 수치지만 전년 동기와 비교해서는 25% 줄었다. 총 투자 유치 금액은 45억 6000만 달러로, 전월 대비 11% 감소했으나 전년 동기 대비 484% 늘어난 수치다.

블랙록, 총 $2.9억 BTC·ETH 코인베이스 입금

블랙록이 약 7분 전 2042.8 BTC(2.13억달러)와 2만2681 ETH(7983만 달러)를 코인베이스 프라임에 입금했다고 온체인렌즈가 전했다.

빗썸, 신비개런티·마스크엑스 입출금 제한

빗썸이 Xinbi Garantee(신비개런티), MaskEx(마스크엑스) 입출금을 제한한다고 공지했다. 해당 서비스가 가상자산을 이용한 불법자금세탁 행위 등에 연루되어 있다는 보도 등과 관련해 자금세탁방지 법령을 준수하고 고객 자산을 보호하기 위함이라고 거래소 측은 설명했다.

분석 "비트코인 실현 시총 증가 둔화…부정적 시그널"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구조적 모멘텀이 약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크립토퀀트 기고자 테디비전(TeddyVision)은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실현 시가총액(각 BTC가 마지막으로 온체인에서 움직였던 가격을 기준으로 계산된 비트코인의 시장 가치) 증가 속도가 눈에 띄게 둔화됐다. 가격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네트워크 차원의 모멘텀이 약화되고 있다는 명확한 신호다. 실현 시가총액 증가율 지표를 보면 네트워크에서 의미 있는 자금 유입은 없고, 장기적인 추세 역시 약화됐다. 결국 실현 시가총액의 추세가 반전되지 않는 한 다음 사이클에서 비트코인 가격대가 더 낮은 수준에서 형성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바이비트, MMT 상장

바이비트가 4일 21시(한국시간) 모멘텀(MMT)을 현물 상장했다고 공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