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4 13:57 INVESTMENT REPORT 주목해야 할 글로벌 거래소 신규상장 & 런치풀 동향 가상자산의 대형 거래소 신규 상장은 해당 자산의 유동성과 접근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핵심 이벤트로 평가된다. 특히 바이낸스, 코인베이스와 같은 대형 거래소 상장은 해당 프로젝트의 신뢰도를 높이고 더 넓은 투자자 기반을 확보하는 계기가 되며, 이는 일반적으로 자산 가치 상승으로 이어지는 경향을 보인다. 다만, 상장 직후 단기적으로는 기존 투자자들의 차익실현 물량으로 인한 변동성 확대에 주의가 필요하다. 1. 글로벌 대형 가상자산거래소 신 2025.04.02 16:24 INVESTMENT REPORT SEC vs 가상자산 업계 : 합의 시대의 새로운 전망 분석 지난 2월 20일, 테라·루나 사태의 주역 테라폼랩스(Terraform Labs)가 美 증권거래위원회(SEC)와 5,500만 달러(한화 806억 원) 규모의 합의금 지불에 동의하며, SEC와 가상자산 업계 간 대규모 합의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 이는 2023년부터 시작된 SEC와 주요 가상자산 기업들의 잇따른 합의 흐름의 연장선으로 해석된다. 지난해 6월 리플랩스(Ripple Labs)는 7억 5천만 달러(한화 1조 998억 원) 규모의 합의금으로 SEC와의 오랜 법적 공방을 마무리했으 2025.04.02 13:13 INVESTMENT REPORT 2025 밈코인 신흥 강자 '도긴미·키캣' 도긴미(DOGINME)와 키캣(KEYCAT)은 2일 코인베이스에 동시 상장되면서 주목받고 있는 BASE 블록체인 기반의 밈코인이다. 두 코인 모두 빠른 상장 심사 과정을 거쳐 코인베이스에 상장되었다. 두 프로젝트의 코인베이스 상장 효과는 현재 투자전략에 있어 ▲글로벌 최상위 거래소 상장으로 인한 신뢰도 상승 ▲높은 유동성 확보 가능 ▲국내 가상자산거래소 상장 가능성 증가 등의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 코인베이스에 2025.02.06 16:06 INVESTMENT REPORT '비트코인 레이어2' 대표 프로젝트 정리 2008년 비트코인이 등장하면서 블록체인 기술과 암호화폐가 전 세계로 확산, 현재까지 수 많은 암호화폐들이 개발됐다. 하지만 그 중에서도 최고의 탈중앙성과 보안성을 자랑하는 비트코인은 '디지털 금'으로서 '암호화폐 대장'의 자리를 지키며 2024년 말 10만 달러를 돌파하는 기염을 토했다. 2015년 등장한 이더리움은 스마트 컨트랙트 개념을 도입해 단순한 거래 수단이던 기존의 암호화폐의 패러다임을 바꿨다. 이더리움 등장 이후의 암호화폐들은 대부 2025.01.20 16:24 INVESTMENT REPORT 'AI 에이전트 메타 주도' 베이스...2025년에도 이어갈까 베이스의 탄생과 비전 베이스(Base)는 세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중 하나인 코인베이스에서 "10억 명의 사용자를 온체인으로 온보딩시킨다"는 비전을 바탕으로 개발, 2023년 8월 메인넷을 출시한 이더리움 레이어2(L2) 블록체인이다. 베이스는 옵티미즘(Optimism, OP Mainnet) 개발사 옵티미즘랩스(OP Labs)와의 협업하에 모듈형 블록체인 개발 프레임워크인 'OP 스택'을 기반으로 구축됐다. 베이스는 옵티미즘과 같이 옵티미스틱 롤업을 사용하는 L2 2025.01.10 16:32 INVESTMENT REPORT 솔라나, 밈코인 열풍에 두 번째 전성기 솔라나(Solana, SOL)는 높은 확장성을 무기로 '이더리움 킬러'를 표방, 2020년 3월 메인넷을 출시한 레이어1(L1) 블록체인이다. 솔라나의 무기: 높은 확장성 2010년대 말 '탈중앙화 어플리케이션(Dapp, 디앱) 플랫폼'으로서 디앱 생태계를 주도하던 이더리움은 낮은 초당 트랜잭션 처리(TPS), 높은 가스비와 같은 낮은 확장성을 치명적 단점으로 갖고 있었다. 이에 반해 높은 TPS와 낮은 가스비를 무기로 등장한 솔라나는 매니아들 사이에서 이더리움 2025.01.07 19:04 INVESTMENT REPORT 'AI 코인 대표주자' 니어 프로토콜... 2025년 시장 주도하나 니어 프로토콜(Near Protocol, NEAR)은 '인공지능(AI)을 위한 블록체인'을 표방, 사용자와 개발자 모두에게 편리한 경험을 제공하는 레이어1(L1) 블록체인이다. 니어 프로토콜의 공동창업자인 일리야 폴로수킨(Illia Polosukhin)은 AI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 BERT, GPT 등의 모델의 기반이 되는 'Transformer' 논문의 공동저자 중 한 명으로, 구글 등에서 10년 이상 AI 경력을 쌓은 AI 권위자다. 폴로수킨은 알렉산더 스키다노프와 2017년 AI 2025.01.02 17:51 INVESTMENT REPORT 아발란체, 새해 상승 출발···디파이 산업 성장 주도 아발란체(Avalanche, AVAX)는 확장이 필요한 개발자를 위해 설계된 탈중앙화된 고성능 오픈소스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아바랩스(Ava Labs)에 의해 2020년 9월 21일 출시되었다. 가상자산 시장이 작년 4분기 상승에 대한 조정을 마치고 전반적으로 회복세를 보이며 다시금 상승을 해나가려는 가운데, 아발란체에 대한 투자자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아발란체는 2일 기준 시가총액 약 159억 달러(한화 약 23조 3,000억 원)으로 코인마켓캡(CMC) 전체 순위로 2024.12.31 22:14 INVESTMENT REPORT '웹 3.0 넷마블' 마브렉스···"성숙한 게임 생태계, 웹 3.0서 구현" 넷마블 블록체인 전문 자회사 '마브렉스(MARBLEX)'는 22년 1월에 설립, 블록체인 연구와 게임 퍼블리싱 사업을 목적으로 30여 명이 근무하는 국내 중견기업이다. 거버넌스 코인으로는 MBX가 있으며, 총 발행량은 3억2151만8178개다. 마브렉스가 운영하는 게임에서 게임별 토큰을 보상 받고, 이를 브릿지토큰인 MBXL로 전환한 뒤 퍼블릭 토큰인 MBX로 스왑하는 구조다. MBX 코인의 그동안의 거래소 상장 및 핵심 이슈를 연혁 별로 살펴보면 2024.11.25 19:40 INVESTMENT REPORT 아발란체, 레이어 1 네트워크 확장 및 대중화 선도 아발란체는 확장이 필요한 개발자를 위해 설계된 고성능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아발란체 블록체인은 크게 세 부분의 레이어1 구조로 형성, 이는 아발란체 합의 메커니즘에 의해 구동된다. 전 세계 각지의 개발자와 검증자로 구성된 커뮤니티의 지원을 받는 아발란체는 차세대 디앱(DApp)에 가장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코인마캣캡(CMC) 순위에 따르면 아발란체의 시가총액 순위는 11월 25일 오후 5시 기준 11위이며, 이는 170억 달러(한화 약 27조 2024.11.25 19:37 INVESTMENT REPORT 세이 네트워크 시총, 올해 4분기 급등 코인마캣캡(CMC) 순위에 따르면 세이 네트워크의 시가총액 순위는 3분기를 거쳐 기존 69위에서 51위로 상승했다. 세이의 시가총액은 11월 25일 기준 5시 코인마캣캡 기준 26억 5953만 달러에 달하며 전일 대비 9.33% 오른 수치다. 동일 기준 세이 코인(SEI)은 0.62달러(한화 약 864원)에 거래가 되고 있으며 이는 전일 대비 25% 오른 가격이다. 세이 코인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는 ▲세이 네트워크 및 세이 재단의 지속적인 디파이(DeFi) 생태계 확장 ▲웹 3.0 게 2024.11.20 17:09 INVESTMENT REPORT 수이 블록체인 기반 디파이 플랫폼, 스캘럽 스캘럽(Scallop)은 기존 은행의 금융 서비스적 요소와 디파이(DeFi) 서비스를 결합하여 자산을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플랫폼으로, 수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운용이 되고 있다. 기존 은행의 금융 서비스라 함은 대표적으로 예적금과 대출이 있는데, 이러한 기본적인 금융활동을 스캘럽 플랫폼에서 스캘럽 토큰(SCA)을 통해 실시하는 것이다. 물론 대부분의 디파이 플랫폼이 그러하듯이 기존 은행이 제공하는 것보다 고객에게 유리한 이율 조건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