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INNEWS
비트코인, 매수세 유입에도 상승 폭 제한···단기 저항선 부담
비트코인(BTC)은 6일(한국시간) 테더 도미넌스(USDT.D)가 5.17%선을 유지하며 위험자산 선호 회복세가 주춤한 가운데 제한적 상승세를 보였다. 이더리움(ETH)과 주요 알트코인 일부의 반등세에도 불구하고, 비트코인은 단기 저항선 부담 속에 1억 5,000만 원 초반대에서 등락을 이어갔다. 온체인 데이터에 따르면, 비트코인 시장의 롱 포지션 비율은 69.85%로 매수세가 우세했지만, 매도세 또한 30%를 상회하며 균형 구간을 형성했다. 시장에서는 "단
COINNEWS
CMT 디지털, 블록체인 펀드 1억 3,600만달러 조성
시카고 소재 암호화폐 벤처캐피털 CMT 디지털(CMT Digital)이 지난달 30일네 번째 펀드를 마감하고 블록체인 스타트업 지원을 위해 1억 3,600만 달러(한화 2,714조 557억 6,000만 원)를 확보했다고 포춘(Fortune)이 4일 보도했다. 회사 측은 이번 펀드가 규제 명확성과 기관 도입 확산을 바탕으로 차세대 암호화폐 인프라와 애플리케이션 개발 창업자들을 대상으로 한다고 밝혔다. 투자 파트너 샘 홀린(Sam Hollin)은 부유층 개인, 패밀리 오피스, 기관투자자
COINNEWS
美 상원의원, 정부 셧다운 속 암호화폐 법안 논의 지속
미국 워싱턴에서 6일 미국 상원의원들이 트럼프 행정부의 암호화폐 책임자 데이비드 삭스(David Sacks)와 함께 암호화폐 시장 구조 법안을 논의했다. 존 부즈먼 상원의원과 코리 부커 상원의원은 법안 초안을 조율하기 위해 백악관과 통화했으며, 회의는 정부 셧다운이 지속되는 가운데 진행됐다. 이번 법안은 7월 하원에서 통과된 이후 상원 논의 단계에 있으며, 암호화폐 산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민주당의 탈중앙화 금융 관
COINNEWS
프랭클린 템플턴, 홍콩서 토큰화 머니마켓펀드 출시
글로벌 자산운용사 프랭클린 템플턴(Franklin Templeton)이 6일 홍콩에서 토큰화된 미국 달러 머니 마켓 펀드를 출시했다. 이번 조치는 홍콩의 자산 토큰화 추진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블록체인 기반 상호기금(UCITS) 구조를 도입한 첫 사례로 평가된다. 프랭클린 템플턴은 이번 펀드를 통해 아시아 지역에서 암호화폐 관련 서비스를 확대했다. 회사는 "프랭클린 온체인 미국 정부 머니 펀드"를 통해 발행, 유통, 서비스를 모두 블록체인 상에서 처리하는
COINNEWS
간밤에 무슨 일이··· 11월 6일 암호화폐 아침 뉴스
1. 프랭클린 템플턴, 홍콩서 토큰화 머니펀드 출시 프랭클린 템플턴(Franklin Templeton)은 6일 홍콩에서 미국 달러 머니 마켓 펀드를 토큰화한 '프랭클린 온체인 미국 정부 머니 펀드'를 출시했다. 약 700억 달러(한화 100조 8,700억 원) 규모의 이 펀드는 룩셈부르크에 등록된 UCITS 구조로, 홍콩의 실제 자산 토큰화(RWA) 추진에 맞춰 기관 투자자를 중심으로 운용된다. 2. 美 상원, 트럼프 측 암호화폐 자문과 법안 논의 미국 상원은 6일 도널드 트럼프 미
COINNEWS
비트코인, Fed 불확실성과 AI 랠리 부담 속 낙폭 제한···단기 지지선 1억 5,000만원선 유지
비트코인(BTC)은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정책 불확실성과 인공지능(AI) 랠리 피로감이 겹치며 투자자들의 위험자산 회피 심리가 강화된 가운데, 테더 도미넌스(USDT.D)가 5.59% 저항을 맞고 반락하며 5일 하락세를 멈추고 단기 낙폭을 제한했다. 전일까지 이어진 급락세 이후 1억 5,085만 원 부근에서 기술적 지지선을 확보하며 단기 안정세를 보였다. 시장 전문가들은 "Fed의 정책 방향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투자자들이 현금 비중을 늘리고 있
COINNEWS
리빌(Reveel), 대화형 AI 결제 플랫폼 통해 연간 결제 규모 2,607억 원 돌파
대화형 AI 결제 플랫폼 레바 인공지능(Reva AI)이 출시 6개월 만에 연환산 결제 규모 1억 8천만 달러(한화 2,607억 원)를 돌파하며 AI 에이전트 기반 금융 서비스의 가능성을 입증했다. 메시지만으로 암호화폐 송금이 가능한 이 플랫폼은 25만 명 이상의 사용자를 확보하며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레바 AI는 웹3 기반 AI 결제 플랫폼 리빌(Reveel)이 개발한 대화형 AI 결제 플랫폼이다. 사용자는 메시지를 통해 AI 에이전트와 대화하며 스테
COINNEWS
밸런서 해킹, 수개월간 준비된 정교한 공격으로 드러나
분산형 거래소(DEX) 밸런서(Balancer)가 해킹으로 1억 1,600만 달러(한화 약 1,616억 원) 상당의 암호화폐를 탈취당한 것으로 드러났다. 4일 코인텔레그래프는 온체인 분석을 인용해 이번 공격이 수개월 전부터 계획된 정교한 범행이었다고 보도했다. 공격자는 탐지를 피하기 위해 토네이도 캐시(Tornado Cash)에 0.1이더리움(ETH)를 예치해 자금을 분산시켰으며, 같은 지갑에 최소 100이더리움를 저장한 정황이 포착됐다. 코인베이스(Coinbase) 이사 코너 그
COINNEWS
리플 RLUSD, 출시 1년 만에 시총 10억 달러 돌파
리플(Ripple)의 미국 달러화 연동 스테이블코인 RLUSD가 출시 1년도 채 되지 않아 시가총액 10억 달러(한화 약 1조 4,467억 원)를 돌파하며 상위 10대 스테이블코인에 진입했다. 3일 코인게코(CoinGecko)에 따르면 RLUSD는 10월 24일 9억 달러를 달성한 지 며칠 만에 10억 달러를 돌파했다. RLUSD는 작년 12월 공식 출시된 이후 시가총액이 연초 대비 1,278% 성장하며 가파른 상승세를 기록했다. 리플은 3일 공식x를 통해 "리플 프라임(Ripple Prime), 지
COINNEWS
"AI가 AI에게 돈 지불하는 시대 온다"···팬 네트워크, 에이전트 경제 비전 제시
"기계의 자유는 스스로 결제할 수 있는 순간부터 시작된다." 글로벌 결제 금융(PayFi) 인프라 프로젝트 팬 네트워크(Pan Network)가 AI 에이전트 간 자율 결제 경제 시대의 도래를 선언했다. 팬 네트워크는 지난달 27일 공식 X 채널을 통해 'Pan I: When AI Becomes a New Economic Entity(AI가 새로운 경제 주체가 될 때)'라는 제목의 장문 게시글을 발표했다. 팬 네트워크는 "AI가 더 이상 우리가 엔터키를 누르지 않아도 작동한다는 근본적인 전환점
COINNEWS
비쓰리(B3), 웹3 결제 혁신 가속화···애니스펜드에 'x402' 프로토콜 탑재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비쓰리 네트워크(B3 Network)가 웹3 생태계의 결제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신기술을 선보였다. 비쓰리(B3)는 지난 1일 자사의 크로스체인 결제 플랫폼 애니스펜드(AnySpend)에 혁신적인 x402 결제 프로토콜 구현을 완료하고 'AnySpend x402'를 공식 출시했다고 밝혔다. x402 프로토콜은 HTTP 상태 코드 '402 Payment Required'를 활용하는 표준 결제 방식으로, 웹3 환경에서 AI 에이전트 및 API 서비스 이용 시 발생하는 결제를
COINNEWS
유럽연합, ESMA에 암호화폐 감독권 부여 추진···업계 "혁신 저해 우려"
유럽연합(EU)이 4일 가상자산과 자본시장 전반에 대한 유럽증권시감독청(ESMA)의 감독 권한을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하면서 업계 내 논란이 일고 있다. 정책 전문가들은 이 계획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유사한 중앙집중형 규제 체계를 만드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EU 집행위원회는 12월 해당 초안을 공개할 예정이며, 이는 증권거래소와 가상자산 서비스 제공업체에 대한 직접 감독권을 ESMA에 부여하는 내용을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