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빠르고 정확한 24시간 크립토 뉴스 코인니스

BofA CFO "美 연준, 올해 두 차례 추가 금리 인하 예상"

월터블룸버그에 따르면, 뱅크오브아메리카(BofA) 최고재무책임자(CFO)가 "올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두 차례 추가 금리 인하를 예상한다"고 말했다.

리플, 남아공 압사은행과 파트너십…암호화폐 커스터디 서비스 제공

리플(XRP)이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주요 금융기관 압사은행(Absa Bank)과 협력해 암호화폐 커스터디(수탁)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이번 파트너십으로 리플은 아프리카 지역 내 첫 주요 커스터디 파트너를 확보하게 됐다. 압사은행은 총 2.07조 랜드(약 1,195억 달러) 규모의 자산을 운용하는 남아공 대형 은행으로, 리플의 토큰화 자산 및 암호화폐 인프라를 활용해 사용자에게 안전하고 규제 친화적인 디지털 자산 보관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외신 "BNB, 더블탑 패턴 완성 시 30% 하락 가능성"

BNB가 일봉 차트에서 더블탑(쌍고점) 패턴을 완성한다면 현재 가격 대비 약 30% 급락할 수 있다고 코인데스크가 분석했다. BNB는 지난주 1,350 달러 부근에서 고점을 형성했지만, 두 차례 모두 해당 저항을 돌파하지 못했다. 이러한 패턴 상 10월 폭락이 연출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더블탑 패턴 상 넥라인은 1,100 달러 부근에 형성되어 있다. 만약 캔들이 해당 넥라인 아래에서 마감한다면, 더블탑 패턴의 완성을 시사한다. 또 바이낸스를 둘러싼 여러 부정적 루머들과 지난 7일간 217.5억 달러가 순유출된 것도 BNB 상승 모멘텀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미 재무장관 “중국과의 단절 원치 않아”

월터블룸버그에 따르면 미국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가 “미국은 중국 무역에 대해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 수단을 가지고 있다. 양국 간 경제적 디커플링은 원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BTC 채굴풀 루비안 관련 주소, $2.4억 BTC 신규 주소로 추가 이체

지난 3년 동안 휴면 상태였던 비트코인 채굴 풀 루비안(LuBian) 관련 주소가 방금 전 2129 BTC를 신규 주소로 추가 이체했다고 블록체인 보안업체 펙실드가 전했다. 2억 3860만 달러 상당이다. 앞서 루비안 주소는 5시간 전 9757 BTC(11억 달러)를 신규 주소로 이체한 바 있다. 한편 미국 정부는 지난 2020년 루비안 해킹으로 탈취된 127,271 BTC(약 141억 달러)의 몰수를 추진 중이다.

美 상장사 제타네트워크, BTC·SolvBTC로 약 $2.3억 조달

미국 나스닥 상장사 제타네트워크그룹(나스닥 티커: ZNB)이 보도자료를 통해 약 2.3억 달러 규모의 자금을 사모발행(PIPE)으로 유치했다고 15일 발표했다. 제타네트워크가 조달한 자금은 BTC 및 SolvBTC로 지급된다. 이와 관련 제타네트워크 측은 "이번 PIPE를 통해 대차대조표를 강화, 비트코인 기반 수익 창출 상품을 보유하며 순자산가치 제고를 도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분석 "미 정부 셧다운 종료 후 비트코인 본격 상승 가능성”

미국 정부 셧다운이 비트코인 시장에 새로운 변곡점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코인데스크는 복수 애널리스트들을 인용해 “2018년 12월부터 2019년 1월까지 이어진 35일간의 셧다운은 비트코인 약세장의 저점 구간과 정확히 일치했다. 당시 BTC는 셧다운 이후 6,000달러대에서 3,000달러 초반까지 하락한 뒤, 셧다운이 종료된 이후 7주 연속 상승세를 보이며 5,000달러를 돌파했다. 이번에도 셧다운이 직접적인 상승 요인은 아니지만, 과도한 레버리지가 청산된 후 시장이 재정비되는 국면이라는 점에서 2019년 상황과 유사하다. 아울러 최근 금의 상승세 역시 비트코인의 강세 시그널로 볼 수 있다. 금은 올해 들어 61%가 상승했고, 셧다운 이후에도 추가로 10%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윌리엄블레어 "스테이블코인, 글로벌 금융 시스템 재편 전망"

미국 투자 은행 윌리엄블레어(William Blair)가 "스테이블코인은 글로벌 금융 시스템을 재편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윌리엄블레어는 15일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스테이블코인은 기업 간 거래에 쓰이던 기존 인프라, 일부 소비자 대상 상거래 분야에서도 인기를 얻을 것"이라며 "기존 법정화폐 기잔 국가 간 결제는 느리고, 비싸다. 하지만 스테이블코인은 24시간 연중무휴 활용 가능하며, 거의 즉각적 결제, 최소한의 중개자 개입, 외환 리스크 완화 등 강점이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보고서는 "스테이블코인 거래는 불변성, 프로그래밍 가능성, 미국 달러 간접 노출 등 또다른 이점도 갖고 있다. 서클과 코인베이스는 미국 규제 환경의 주요 수혜자로 생각되며, USDC와 같은 주요 토큰을 중심으로 스테이블코인 보급이 본격화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비탈릭 "브레비스 피코 프리즘 출시, ZK-EVM 분야 중요한 진전"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ETH) 창시자가 자신의 X를 통해 "영지식증명 기술 기업 브레비스(Brevis)의 피코 프리즘 기술은 ZK-EVM 증명 속도와 다양성 측면에서 중요한 진전"이라고 말했다. 코인니스는 앞서 브레비스가 피코 프리즘을 공개하고, 일반 소비자용 하드웨어로 이더리움 실시간 검증에 성공했다고 전한 바 있다.

브레비스, 피코 프리즘 공개...일반 소비자용 하드웨어로 이더리움 실시간 검증 성공

영지식증명 기술 기업 브레비스(Brevis)의 피코 프리즘(Pico Prism)이 일반 소비자용 하드웨어로 이더리움 실시간 검증에 성공했다고 전했다. 피코 프리즘은 여러 개의 GPU를 사용하는 ZKVM으로, RTX 5090 GPU 64개로 이더리움 레이어1 블록의 99.6%를 12초 이내에 검증했다. 블록 테스트에서도 피코 프리즘은 3,600만 가스 블록에서 98.9%의 커버리지를 달성한 반면, 업계 선두인 SP1은 40.9% 수준에 그쳤다. 평균 검증 시간도 피코 프리즘은 6.04초로, SP1의 10.3초보다 빨랐다. 브레비스는 "향후 수개월 내 RTX 5090 GPU 16개 미만으로 실시간 검증률 99% 달성을 목표로 삼고 있다"고 설명했다.

바이낸스 알파, RECALL 추가

바이낸스 알파가 RECALL를 추가한다고 공지했다. 바이낸스 알파는 바이낸스 월렛 내 온체인 거래 플랫폼으로, 초기 단계 코인을 집중적으로 상장하고 있다.

日 상장사 리믹스포인트, 2.85 BTC 추가 매수

일본 상장사 리믹스포인트(Remixpoint)가 2.85 BTC를 추가 매수했다. 현재 보유량은 1,381.83 BTC로 비트코인 보유 기업 중 보유량 42위에 올라있다.

블랙록 BTC 현물 ETF, 美 ETF 중 올해 순유입액 5위

비트코인뉴스에 따르면, 미국 ETF 시장 내 올해 순유입액 기준 블랙록 BTC 현물 ETF IBIT이 5위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IBIT에는 올들어 약 280억 달러 규모의 순유입을 기록했고, 1위는 순유입액 926억 달러를 기록한 뱅가드의 S&P500 ETF인 VOO가 차지했다.

BTC $112,000 하회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BTC가 112,000 달러를 하회했다. 바이낸스 USDT 마켓 기준 BTC는 111,909.96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FTX 설립자 SBF "바이든 정부, 내 입 막으려 체포 강행" 주장

사기 혐의 등으로 복역 중인 FTX 설립자 샘 뱅크먼 프리드(SBF)가 SNS 플랫폼 GETTR을 통해 "바이든 전 미국 정부는 나의 입을 막으려 체포를 강행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2020년 당시 나는 중도 좌파 성향이었지만, 바이든과 게리 겐슬러 전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의 암호화폐 규제 정책을 목격한 후 중도 성향으로 돌아섰다. 이후 나는 비공개적으로 공화당에 수천만 달러를 기부했다. 몇 주 후 바이든 행정부의 암호화폐 반대 세력 SEC, DOJ는 나를 표적으로 삼았고, 내가 로비하고 있던 암호화폐 법안이 표결을 앞둔 몇 주 전이자 의회 증원을 하기로 예정된 바로 전날 밤에 나를 체포했다"고 말했다. 한편 SBF는 수감 중에 자신이 직접 SNS 계정을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친구가 대신 포스팅을 통해 말을 전하고 있는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바이낸스, YB USDT·USDC 마진 페어 상장

바이낸스가 오늘 20시(한국시간) YB/USDT, YB/USDC 마진 거래 페어를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분석 "BTC, 신규 유입 고래 영향력 커져...'투기 단계 진입'"

일본 암호화폐 리서치 기관 XWIN이 크립토퀀트 기고문을 통해 "BTC 온체인 보유자들의 NUPL(미실현 순손익)을 분석한 결과, 신규 유입 고래들의 영향력이 커지며 구조적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비트코인은 강세 사이클 후반으로 접어든 것으로 보이며, '투기 단계'에 진입했다"고 분석했다. XWIN 측은 "현재 BTC 홀더들의 NUPL은 +0.52를 기록 중이다. 이는 시장이 '낙관' 분위기에서 '환희'로 전환되는 구간이다. 현재 BTC 유통량 중 약 97%는 평단가 위에서 수익을 보고 있다. 다만 뚜렷한 조정이나 횡보를 거치지 않고서는 상승 여력은 제한적이다. 나아가 단기 보유자들이 보유한 BTC가 실현 시가총액의 44%를 차지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이는 신규 고래들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과거 사이클에서는 단기 보유자들의 시총 지배력 상승은 강세장의 끝단계에서 관측됐다. 하지만 이번에는 ETF 유입, 스테이블코인 유동성 증가, 기관 참여 등이 매도 압력을 흡수하며 보다 안정적인 시장 사이클로 흘러가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BNB 투자 나스닥 상장사 나노랩스, 최대 $2,500만 자사주 매입 추진

중국 채굴용 반도체 제조사이자 나스닥 상장사 나노랩스 이사회가 공식 채널을 통해 향후 12개월 내 최대 2,500만 달러 규모의 자사주 재매입 프로그램을 승인했다고 15일 발표했다. 나노랩스는 지난 6월 BNB 비축 계획을 발표한 후 현재까지 BNB, BTC 등 암호화폐를 다수 보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애널리스트 "YB 마켓메이커, 앰버그룹 추정"

커브파이낸스(CRV) 설립자 마이클 에고로프가 출시한 탈중앙화 BTC 수익 프로토콜 일드 베이시스(YB)의 마켓 메이커가 암호화폐 마켓메이커 앰버그룹으로 추정된다고 엠버CN이 전했다. 앰버그룹 주소는 3시간 전 YB 프로젝트 측으로부터 825만 YB를 수령한 뒤, 이를 복수의 중앙화 거래소(CEX)에 입금한 움직임이 포착됐다.

M2캐피털, AVAX 전략 투자 나스닥 상장사에 $2100만 투자

아랍에미리트(UAE)에 본사를 둔 M2홀딩스의 투자 계열사 M2캐피털이 나스닥 상장사 AVAX원(AVAX One) 디지털 자산 트레저리에 2,100만 달러를 투자했다고 글로브뉴스와이어가 전했다. AVAX원은 아발란체(AVAX) 생태계 네이티브 토큰 AVAX에 전략 투자하는 최초의 나스닥 상장 AVAX 트레저리 기업으로, 이번 투자는 M2캐피털이 중동 및 북아프리카(MENA) 지역 내 규제 친화적 디지털 자산 생태계 확장을 추진하는 전략의 일환이다. M2캐피털은 이를 통해 기관 중심의 AVAX 보유 확대 및 시장 접근성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