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빠르고 정확한 24시간 크립토 뉴스 코인니스

분석 “BTC $8.4만 위에서 바닥 다져…온체인 지표는 부정적”

비트코인이 8만 달러 중반 가격대를 방어하면서 향후 매도 압력이 완화될 경우 안정적인 가격 흐름을 보일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온체인 분석 업체 글래스노드(Glassnode)가 주간 보고서를 통해 “단, 시장은 현재 모멘텀이 부족한데다 14일 상대강도지수(RSI)도 과매도 영역을 유지하다가 반전돼 새로운 하락 시그널을 보내고 있다. 파생상품 데이터도 비슷한 모습이다. 선물 및 무기한 선물 누적 거래량 델타(CVD)는 여전히 큰 폭의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온체인 지표를 보면 수수료 수익, 조정 실현 시가총액 모두 감소해 네트워크가 더욱 침체됐음을 보여준다. 이를 종합하면 BTC는 통제 가능한 범위에서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으나 심각한 스트레스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상승률은 여전히 저조하지만 자금 유출이 완화되고 있고 모멘텀 안정화, 투기적 레버리지 공백 등은 시장이 84,000~90,000 달러 사이에서 초기 바닥 구조를 형성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올 3Q 크립토 VC 투자 $46억… 2022년 말 이후 두 번째 규모

지난 3분기 글로벌 크립토 벤처캐피털(VC) 투자가 46억5,000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갤럭시디지털 보고서를 인용해 전했다. 2022년 말 이후 두 번째로 큰 규모다. 이 기간 투자 건수는 총 414건으로 집계됐다. 이 중 7건이 전체 조달액의 절반을 차지했다. 레볼루트는 단일 기업 기준 최대 규모인 10억 달러, 크라켄은 5억 달러, 미국 크립토 전문은행 에레보르는 2억5,000만 달러를 조달했다.

분석 "익명 트레이더, $17.6억 BTC 콜옵션 오픈...최대 $11.8만 예상"

익명 트레이더가 2만 BTC(17.6억 달러) 규모의 BTC 콜옵션 전략을 개시했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매체는 "이 트레이더는 만기일은 같지만 행사가는 다른 4가지 콜옵션을 거래하는 롱 콜 콘도르(call condor) 전략을 사용했으며, 행사가는 각각 10만, 10.6만, 11.2만, 11.8만 달러다. 이 트레이더는 BTC가 연말까지 10만~11.8만 달러까지 상승할 것이지만, 11.8만 달러 위로 넘어가지는 않을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분석 “BTC, 바닥 다지는 중…스마트 머니 유입 초읽기”

BTC의 기술적 지표가 시장 바닥을 가리키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크립토퀀트 수석 애널리스트 줄리오 모레노(Julio Moreno)는 “BTC 샤프비율(Sharpe Ratio, 위험자산에 투자해서 얻은 초과수익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 거의 제로 수준으로 하락했다. 이는 지난 2019년, 2020년, 2022년에도 나타났던 현상이며 시장 안정화 단계가 멀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샤프비율 하락은 스마트 머니의 유입을 불러오면서 장기적인 상승세의 발판이 되곤 했다. 또한 지난주 전체 BTC의 8% 이상이 이동했는데, 이는 지난 7년간 단 2번 발생했던 일로 대규모 매도와 자산 재배치를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스트래티지, S&P500 편입 또 불발(종합)

스트래티지의 S&P500 지수 편입이 또 불발됐다고 미국 투자전문 매체 모닝스타가 전했다. 이번에 새롭게 편입된 종목은 데이터 저장 장치 및 솔루션 개발 및 공급 업체 샌디스크다. 앞서 암호화폐 시장 분석업체 10x리서치는 이번 심사에서 스트래티지가 통과할 가능성을 70% 이상으로 평가했으며, 블룸버그 ETF 전문 애널리스트 제임스 세이파트도 올해 편입을 유력하게 점쳤으나 모두 빗나갔다. 스트래티지와 함께 가장 유력한 후보군으로 꼽혔던 로빈후드는 지난 9월 이 지수에 편입됐다. 현재 S&P500 지수에 편입된 암호화폐 기업은 코인베이스, 블록. 로빈후드 등 3곳이다. 한편 JP모건은 최근 스트래티지가 MSCI 등 주요 지수에서 제외될 경우 약 28억 달러 자금 유출이 일어날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MSCI 지수 리밸런싱은 오는 2026년 1월 15일로 예정돼 있다.

3대 선물 거래소 BTC 무기한 선물 롱숏 비율

미결제약정 기준 세계 3대 암호화폐 선물 거래소 내 최근 24시간 BTC 무기한 선물 롱·숏 포지션 비율은 다음과 같다. 전체 거래소: 롱 48.52% / 숏 51.48% 1. 바이낸스: 롱 49.41% / 숏 50.59% 2. 바이비트: 롱 50.81% / 숏 49.19% 3. 게이트아이오: 롱 49.37% / 숏 50.63%

바이낸스 알파, GUA 추가

바이낸스 알파가 오는 27일 슈퍼포춘(GUA)를 추가한다고 공지했다. 바이낸스 알파는 바이낸스 월렛 내 온체인 거래 플랫폼으로, 초기 단계 코인을 집중적으로 상장하고 있다.

트리하우스, 첫 TREE 바이백 완료

트리하우스(TREE)가 첫 번째 바이백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업비트, OP 계열 자산 입출금 일시중단

업비트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옵티미즘(OP)의 하드포크로 인해 12월 2일 22시 옵티미즘 네트워크 계열 디지털 자산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업비트, SWELL 입출금 일시 중단

업비트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네트워크 하드포크로 12월 2일 11시부터 SWELL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바이낸스 알파, BNBHolder·恶俗企鹅 추가

바이낸스 알파가 BNBHolder, 恶俗企鹅(악동펭귄)를 추가한다고 공지했다. 바이낸스 알파는 바이낸스 월렛 내 온체인 거래 플랫폼으로, 초기 단계 코인을 집중적으로 상장하고 있다.

파로스 네트워크, 생태계 지원 재단 출범

실물자산(RWA) 중심 레이어1 퍼블릭체인 파로스 네트워크가 생태계 지원을 위한 비영리 법인인 파로스 재단(Pharos Foundation)을 출범한다고 전했다. 파로스 재단은 △생태계 지원 △기술 개발 △거버넌스 및 투명성 △교육 등을 핵심 축으로 삼고, △개발자에게 보조금 및 기술 지원 △전통 금융기관과의 협력 강화 △개방형 금융 연구 및 산업 지식 보급 등에 집중할 방침이다. 파로스 측은 "재단의 출범은 오는 2026년 초 TGE 및 메인넷 출시를 향한 과정에 있어 중요한 이정표로, 장기적인 생태계 발전을 위한 거버넌스 중심의 모델을 확립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펌프닷펀 “$4억 USDC 현금화 한 적 없어”

펌프닷펀 팀은 “전날 룩온체인을 통해 우리가 4억 USDC를 현금화 했다는 주장이 빠르게 확산됐다. 하지만 우리는 단 1 달러도 현금화 한 적 없다“고 밝혔다. 앞서 룩온체인은 “펌프닷펀 팀 주소가 4.05억 USDC를 크라켄에 입금했다. 또한 같은 기간 4.66억 USDC가 크라켄에서 서클로 이체됐는데, 이는 현금화됐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 자금은 펌프닷펀이 지난 6월 기관을 대상으로 진행한 PUMP 프라이빗 세일을 통해 확보한 것“이라고 전한 바 있다.

스트래티지, 올해 BTC 매입에 31조원 썼다

스트래티지(MSTR)가 올해 비트코인을 매수하는 데 약 210억 달러(30조9729억원)를 투입했다고 비트코인트레저리가 공식 X를 통해 전했다. 보통주로 119억 달러, 우선주로 69억 달러, 전환사채로 20억 달러 상당이 투입됐다.

‘돌아온 블랙록’ ETH 현물 ETF 순유입

24일(현지시간) 미국 이더리움(ETH) 현물 ETF에 총 9228만 달러(1360억원)가 순유입됐다고 트레이더T가 전했다. 2거래일 연속 순유입이다. 블랙록 ETHA가 8822만 달러로 순유입을 주도했고, 이외 21쉐어스 CETH(74만 달러)와 그레이스케일 미니 ETH(981만 달러)에도 순유입이 나타났다. 특히 블랙록 ETHA의 경우 10거래일 만에 순유입 전환됐다. 반면 피델리티 FETH(-223만 달러)와 비트와이즈 ETHW(-426만 달러)에서는 순유출이 나타났다.

BTC 현물 ETF 2143억원 순유출

24일(현지시간) 미국 비트코인(BTC) 현물 ETF에 1억 4543만 달러(2143억원)가 순유출됐다고 트레이더T가 전했다. 순유입에서 1거래일 만에 순유출로 전환했다. 블랙록 IBIT에서 1억 4348만 달러가 빠져나갔다. 이외에 아크인베스트먼트 ARKB에 1165만 달러, 비트와이즈 BITB에 579만 달러가 순유출됐다. 반면 피델리티 FBTC에서는 유일하게 1549만 달러가 순유입됐다.

플룸, 팍소스 USDG0 1차 출시 네트워크로 선정

규제 적격 실물자산(RWA) 초점 블록체인 플룸(PLUME)이 팍소스(Paxos) 신규 옴니체인 스테이블코인 ‘USDG0’의 1차 출시 네트워크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여기에는 하이퍼리퀴드(HYPE), 앱토스(APT)도 이름을 올렸다. USDG0는 레이어제로(ZRO)의 OFT(Omnichain Fungible Token) 표준을 활용해 체인 간 전송이 가능한 버전의 USDG다. 또 팍소스가 발행하는 100% 준비금 기반 규제 준수형 스테이블코인 USDG의 확장 모델이다. USDG 시가총액은 현재 9억 9,700만 달러 규모다. USDG0는 플룸 생태계에 △플룸·Nest 전반에서 활용 가능한 네이티브 유동성 △미국 국채 금리와 연동된 온체인 수익 구조 △디파이 개발자를 위한 규제 준수형 스테이블코인 유동성 기반 등을 제공한다.

베라체인 “브레반하워드 투자금 환불 특혜 보도는 허위”

베라체인(BERA)이 투자금 환불 조건 보도와 관련해 사실이 아니라고 밝혔다. 앞서 언체인드는 브레반하워드(Brevan Howard)의 2024년 베라체인 투자 약정에 BERA 토큰 출시 후 1년간의 환불 조건이 포함돼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익명의 베라체인 설립자 스모키 더 베라(Smokey The Bera)는 X를 통해 “브레반 하워드는 약 1년 반 전 아부다비 사무실에서 자체 투자 펀드 노바(Nova)를 통해 다른 모든 투자자들과 동일한 조건으로 투자하는 내용으로 시리즈 B 라운드를 리드했다. 기사에서 문제가 됐던 노바의 사이드 레터(Side Letter)는 2500만 달러의 투자에 대해 TGE 후 1년 뒤 환불을 요청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한다는 내용이다. 이는 토큰 가격이 투자 가격(3달러) 대비 크게 하락했을 때 원금을 회수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이는 단순히 리스크 회피를 위한 특혜가 아니라 펀드 운영 규정과 유동성 공급 의무때문에 들어간 상호합의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최근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및 청산 비율은 다음과 같다. BTC 청산 규모: $1.23억, 청산 비율: 숏 66.42% ETH 청산 규모: $7867만, 청산 비율: 숏 71.46% SOL 청산 규모: $3360만, 청산 비율: 숏 84.96%

갤럭시디지털, 폴리마켓·칼시 마켓 메이커 합류 논의

암호화폐 금융 서비스 기업 갤럭시디지털(Galaxy Digital)이 탈중앙 예측시장 폴리마켓, 칼시의 마켓 메이커로 활동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블룸버그가 전했다. 갤럭시디지털 CEO 마이크 노보그라츠(Mike Novogratz)는 "현재 예측시장에서 소규모로 마켓 메이킹 실험을 진행 중이며, 향후 유동성 공급을 확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