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빠르고 정확한 24시간 크립토 뉴스 코인니스

벅스코인, 국내 산불 피해 복구 기부 행렬 동참

벅스코인(BGSC) 설립자이자 암호화폐 트레이딩 전문 유튜버 인범이 국내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해 1,000만 원을 기부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부금은 산불로 피해를 입은 이재민들의 생활 지원과 복구 활동에 사용될 예정이다. 벅스코인 관계자는 “한국에서 발생한 산불로 피해를 입은 모든 분들께 깊은 위로의 뜻을 전한다. 이번 기부가 시작점이 되어 더 많은 분들이 산불 피해 복구에 관심을 갖고 동참해 주시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분석 "BTC, 2개월 내 최고 $12.3만까지 상승"

미국 거시경제적 불확실성이 짙어진 가운데에도 BTC 가격이 예상보다 빠르게 최고점을 돌파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리얼비전 암호화폐 마켓 애널리스트 제이미 쿠츠는 코인텔레그래프와의 인터뷰에서 "최근 시장에서는 BTC 반등 가능성이 과소평가 되고 있다. 달러인덱스(DXY) 추이와 과거 패턴을 분석한 결과 BTC는 6월 1일까지 적어도 102,000 달러, 최고 123,000 달러까지 상승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외에도 중국 인민은행의 유동성 확대 시그널, 미국 금융 완화 등이 모두 BTC 상승을 지원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자오창펑 “토큰 장기 가치 좌우하는 건 상장 아닌 프로젝트 성장”

자오창펑 바이낸스 공동 설립자가 암호화폐 상장이 장기적인 토큰 가치 형성에 결정적 요인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상장은 해당 토큰의 유동성을 확보하는 수단일 뿐이다. 토큰의 장기적인 가치는 프로젝트의 성장에 따라 결정돼야 한다. 탈중앙화 거래소(DEX)는 모든 코인이 상장돼 있어 사용자들이 스스로 프로젝트를 평가하고 거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이상적인 구조”라고 설명했다.

업비트·빗썸·코인원, HIFI 거래 유의 종목 지정

업비트, 빗썸, 코인원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하이파이(HIFI)를 거래 유의 종목으로 지정한다고 공지했다. 해당 거래소들은 HIFI 거래 유의 종목 지정 사유에 대해 "HIFI는 디지털 자산 거래소 공동협의체(DAXA)에 의하여 거래 유의 종목으로 지정됐다. 가상자산 거래지원 모범사례에 따라 중요사항을 정당한 사유없이 임의로 변경하는 행위, 가상자산의 총 발행량, 유통량계획, 사업계획의 변경 내역 및 정도, 변경 절차의 투명성 및 합리성, 사업의 실재성과 지속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미진한 부분이 다수 존재하고 이용자 피해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3대 선물 거래소 BTC 무기한 선물 롱숏 비율

미결제약정 기준 세계 3대 암호화폐 선물 거래소 내 최근 24시간 BTC 무기한 선물 롱·숏 포지션 비율은 다음과 같다. 전체 거래소: 롱 49.37% / 숏 50.63% 1.바이낸스: 롱 48.49% / 숏 51.51% 2.OKX: 롱 49.13% / 숏 50.87% 3.바이비트: 롱 49.84% / 숏 50.16%

지난 1시간 1.22억 달러 규모 선물 포지션 강제 청산

주요 거래소에서 지난 1시간 1.22억 달러 규모의 선물 포지션이 강제 청산됐다. 24시간 기준으로는 3.03억 달러 규모의 선물 포지션이 강제 청산됐다.

MEV 수익률 최적화 디파이 플랫폼 ZENMEV, 정식 출시

MEV 수익률 최적화 기반 디파이 플랫폼 ZENMEV가 정식 출시된다. ZENMEV 측은 "ZENMEV는 일반 투자자들도 쉽게 MEV를 통한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됐다. 채굴자나 밸리데이터가 독점하던 MEV(채굴자와 블록빌더, 검증자가 블록 내 트랜잭션을 삽입하거나 순서를 변경해 블록 보상을 최대치로 끌어올리는 것) 수익을 암호화폐 장기 홀더가 안전하게 공유할 수 있게 된 셈"이라며 "ZENMEV는 자체 블록체인 인프라와 AI 엔진을 결합해 모든 스테이킹 참여자에게 MEV를 통한 수익 창출 기회를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비트겟, AERGO 선물 상장폐지

비트겟이 한국시간 기준 4월 1일 16시 AERGO/USDT 선물 거래페어를 상장폐지한다고 공지했다. 아울러 AERGO 선물 거래 봇 거래 지원도 중단한다.

테라폼랩스, 3/31 채권자 손실보상 청구 포털 오픈

테라폼랩스가 채권자 대상의 암호화폐 손실 보상 청구(클레임) 포털이 3월 31일(현지시간) 개설될 예정이라고 전했다. 보상 청구 마감일은 4월 30일이다.

BTC $86,000 하회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BTC가 86,000 달러를 하회했다. 바이낸스 USDT 마켓 기준 BTC는 85,956.62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지난 1시간 1.12억 달러 규모 선물 포지션 강제 청산

주요 거래소에서 지난 1시간 1.12억 달러 규모의 선물 포지션이 강제 청산됐다. 24시간 기준으로는 2.88억 달러 규모의 선물 포지션이 강제 청산됐다.

유엑스링크 OAOG 프로토콜, 테스트 20일 만에 계정 50만 개 돌파

웹3 소셜 플랫폼 유엑스링크(UXLINK)가 “최근 출시한 원 어카운트 원 가스(OAOG) 프로토콜의 파일럿 테스트 결과 20일 만에 계정 수가 50만 개 이상으로 증가했다."고 공식 X를 통해 발표했다. 현재 약 600만 UXLINK가 프로토콜에 예치됐으며 일일 트랜잭션 1만 건, 누적 트랜잭션 수는 100만 건을 돌파한 것으로 집계됐다. 앞서 유엑스링크는 OAOG 프로토콜 파일럿 테스트 결과 일주일 만에 16만개 계정이 생성됐다고 전한 바 있다.

아발론랩스, AVL 스테이킹 기능 도입

세계 최대 비트코인 기반 스테이블코인 USDa 발행사 아발론랩스(Avalon Labs, AVL)가 AVL 스테이킹 기능을 도입했다고 발표했다. 사용자는 플랫폼에서 AVL을 스테이킹하고, 최대 200% 수익률을 보상받을 수 있다. 아발론랩스는 "이번 스테이킹 기능 도입으로 AVL 홀더에게 새로운 수익 기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아발론 생태계 장기 참여자 기반을 강화하는 역할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유럽 규제기관 "보험사 자본, 보유 암호화폐 100% 수준 유지해야"

유럽보험연금감독청(EIOPA)이 보험사가 보유한 암호화폐 가치와 동일한 규모의 자본을 보유하도록 의무화하는 규정을 제안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EIOPA는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암호화폐의 고유한 리스크와 높은 변동성을 고려할 때, 암호화폐 가치가 0원이 될 경우를 대비하는 100% 스트레스 레벨을 적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DWF랩스, $660만 MOVE 세푸 입금

더데이터너드에 따르면, 암호화폐 마켓 메이킹 업체 DWF랩스가 11시간 전 1,335만 MOVE(660만 달러)를 바이낸스 기관 커스터디 플랫폼 세푸에 입금했다. 더데이터너드는 "즉각적인 시장 매도는 이뤄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ETH 현물 ETF 62억원 순유출

파사이드인베스터에 따르면 3월 27일(현지시간) 미국 ETH 현물 ETF에서 422만 달러(62억원)가 순유출됐다. 3거래일 연속 순유출이다. 피델리티 FETH에서 201만 달러, 반에크 ETHV에서 221만 달러가 빠져나갔다.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최근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및 청산 비율은 다음과 같다. BTC 청산 규모: $2969만, 청산 비율: 숏 50.98% ETH 청산 규모: $2894만, 청산 비율: 롱 78.74% TUT 청산 규모: $1121만, 청산 비율: 롱 60.98%

블랙록 BUIDL 규모 $20억 육박

RWA,xyz 데이터에 따르면 블랙록 토큰화 펀드 비들(BUIDL)의 자산 규모가 20억 달러에 육박한 19.4억 달러를 기록 중이다. 이는 최근 한 달 사이 203% 증가한 수치다.

분석 "BTC, 주말 유동성 회복 시그널"

비트코인 주말 유동성이 되살아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카이코의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BTC 1% 마켓뎁스(오더북 상 시장가 1% 범위 내 매수·매도 주문 총액)는 주중 중반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한 반면, 금요일에 정점을 찍는 경향을 보였다. 주말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던 작년과는 뚜렷하게 다른 패턴이다. 이에 대해 언폴디드는 "비트코인 주말 유동성이 회복세를 보이기 시작하며, 수년 간 이어져 온 유동성 감소 추세가 반전될 가능성을 나타내고 있다"고 분석했다.

빗썸, ORCA 상장

빗썸이 오늘 16시 오르카(ORCA)를 원화마켓에 상장한다고 공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