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빠르고 정확한 24시간 크립토 뉴스 코인니스

그레이스케일, 오늘 DOGE ETF 출시

그레이스케일이 오늘(현지시간) DOGE ETF(티커 GDOG)를 출시한다고 블룸버그 ETF 애널리스트에릭 발추나스(Eric Balchunas)가 전했다. 그는 1일차 거래량은 1200만 달러 수준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엔라이벡스, $2.12억 RAIN 매입 예정

나스닥 상장사 엔라이벡스 테라퓨틱스(Enlivex Therapeutics)가 사모발행(PIPE)을 통해 2억1200만 달러를 조달하고, 예측시장 토큰 ‘레인(RAIN)’을 준비금으로 활용하는 DAT(디지털자산비축)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더블록이 보도했다. 확보된 자금은 모두 시장에서 유통되는 RAIN 토큰 매입에 투입될 계획이다.

블랙록 IBIT, $7759만 BTC 코인베이스 프라임 추가 입금

블랙록 BTC 현물 ETF(IBIT) 주소가 코인베이스 프라임으로 900 BTC(7759만 달러)를 추가 입금했다고 온체인 렌즈가 전했다. 이에 따라 오늘 블랙록 IBIT는 총 3,722 BTC(3억 2129만 달러)를 코인베이스 프라임으로 입금했다. 코인베이스 프라임은 기관 투자자의 대규모 거래, 자금 보관 등을 수행하는 프라임 브로커리지 플랫폼이다.

JP모건, $1.34억 스트래티지 주식 매도

JP모건이 최근 스트래티지(MSTR) 주식 77만2453주를 매도했다고 비트코인트레저리(BitcoinTreasuries.NET)가 X를 통해 전했다. 1억3400만 달러 규모다.

블랙록 IBIT, $2.4억 BTC 코인베이스 프라임 입금

블랙록 BTC 현물 ETF(IBIT) 주소가 코인베이스 프라임으로 2,822 BTC(2억 4359만 달러)를 입금했다고 룩온체인이 전했다. 비슷한 시간 36,283 ETH(1억 172만 달러) ETH도 같은 주소로 보냈다. 코인베이스 프라임은 기관 투자자의 대규모 거래, 자금 보관 등을 수행하는 프라임 브로커리지 플랫폼이다.

분석 “BTC, 내년 $5만까지 하락할 수도”

오는 2026년 비트코인이 5만달러까지 하락할 확류이 높고, 신고가 대비 60% 조정을 받을 수 있다고 DL뉴스가 복수 애널리스트들을 인용해 전했다. 매체는 “시장에서는 비트코인의 단기 하방 요인으로 ▲매도 우위 구조 ▲AI 버블 우려 ▲유동성 부족과 연준 정책 불확실성을 지목하고 있다. 지난 10월 급락으로 200억달러 이상 청산이 발생하면서 디지털자산 재무기업(DAT)의 손실이 심화됐고, 기업들의 mNAV(기업가치 대비 보유 자산가치 비율)가 하락하며 기관 매수세가 약해졌다. 비트코인 ETF에서도 11월 들어 35억 달러가 순유출되며 수요 둔화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와 동시에 미국 빅테크 중심의 급락세와 AI 섹터의 고평가 우려가 위험자산 전반에 부담을 주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애널리스트들은 BTC 추가 하락을 점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美 상장사 하이퍼스케일 데이터, 115 BTC 추가 매수

뉴욕증권거래소(NYSE) 상장사인 하이퍼스케일 데이터(GPUS)가 115 BTC를 추개로 매수하면서 보유량이 382개로 늘었다고 밝혔다. 앞서 하이퍼스케일 데이터는 BTC 비축고에 7250만 달러를 보유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ECB "스테이블코인, 금융 위기 초래할 수 있다" 재차 경고

스테이블코인이 글로벌 금융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유럽중앙은행(ECB)이 재차 경고했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ECB는 24일(현지시간) 보고서를 통해 "스테이블코인이 유로존 은행들의 소매 예금을 빨아들이면, 은행의 안정적 자금원이 줄어들 수 있다. 대규모 뱅크런이 발생할 경우 국채 매도 압력도 유입돼 금융 위기를 촉발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아서 헤이즈 “BTC, $8만 초반 테스트 가능”

비트멕스 공동설립자 아서 헤이즈(Arthur Hayes)가 “현재 BTC는 9만 달러 아래에서 박스권을 형성하는 중이며, 추가 하락 시 8만 달러 초반대까지 한 차례 더 테스트할 가능성은 있지만 8만 달러 지지선은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현재는 소규모 분할 매수 정도만 염두에 두고 있으며 본격적인 매수는 내년 초로 연기할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11월 넷째 주 디지털 투자상품서 2.9조원 순유출

지난주 디지털 자산 투자 상품에서 지난 19억 4000만 달러(2조8686억원)이 순유출됐다고 코인쉐어스(CoinShares)가 전했다. 4주 연속 순유출 추세가 이어졌다. 코인 별로는 BTC 투자상품에서 12억 7000만 달러가, ETH 투자 상품에서는 5억 8900만 달러가, SOL 투자상품에서는 1억 5620만 달러가 순유출됐다.

美 뉴저지 연기금, $1600만 스태리티지 주식 매입

미국 뉴저지주 연금기금이 1600만 달러 규모 스트래티지(MSTR) 주식을 매입했다고 비트코인트레저리(BitcoinTreasuries.NET)가 X를 통해 전했다.

로이터 “中, BTC 채굴 전면 금지에도 글로벌 점유율 3위”

중국 내 비트코인 채굴 활동이 2021년 전면 금지 됐음에도, 최근 재확산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로이터가 보도했다. 매체는 “해시레이트 인덱스에 따르면 올해 10월 기준 중국의 글로벌 비트코인 채굴 점유율은 14%로 상승하며 미국, 러시아에 이어 3위에 올랐다. 이는 일부 에너지 과잉 지역에서 저렴한 전력과 데이터센터 인프라 확충이 맞물리며 채굴 경제성이 되살아난 영향으로 해석된다. 신장 지역 민간 채굴자 사이에서 송전 한계로 남는 전력을 채굴에 활용하는 움직임이 확산하고 있다. 2021년 채굴 활동 전면 금지 조치 이후 중국 채굴업체들은 북미·중앙아시아로 대거 이주했으나, 올해 미국의 친암호화폐 기조와 비트코인 강세 흐름이 이어졌던 10월을 계기로 수익성이 회복되며 중국 내 재가동 사례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글로벌 비트코인 채굴 해시레이트의 15~20%를 중국이 차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태국 거래소 비트쿱, 홍콩 IPO 검토 중

태국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쿱(Bitkub)이 현지 주식 시장 침체 속 해외 기업공개(IPO)를 검토 중이라고 블룸버그가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소식통은 "비트쿱이 홍콩에서 IPO를 통해 2억 달러를 조달할 계획"이라고 귀띔했다. 비트쿱은 앞서 올해 내 현지 상장을 검토했지만, 시장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계획이 지연된 것으로 알려졌다.

분석 "암호화폐 시장 변곡점은 이번 주 거시 지표”

현재 암호화폐 시장에 단기 반등세가 나타났지만, 향후 방향은 이번 주 발표될 미국 PPI·PCE·GDP 지표와 비트코인 ETF의 순유입·순유출 여부에 의해 크게 좌우될 것이라고 QCP캐피털이 진단했다. QCP 캐피털은 “최근 연준의 비둘기 기조 발언으로 12월 금리 인하 확률이 75% 수준까지 높아지며 글로벌 시장의 유동성 환경이 바뀔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옵션 시장에서는 연말 기준 콜옵션 미결제약정이 풋옵션보다 우위를 유지하고 있다. 주요 콜옵션 행사가격은 8만5000달러, 12만달러, 13만달러, 14만달러, 20만달러 구간에 집중돼 있다. 이는 파생상품 시장의 포지션이 여전히 상방을 향하고 있다는 신호”라고 설명했다.

바이낸스 알파, SSS 추가

바이낸스 알파가 SSS를 추가한다고 공지했다. 바이낸스 알파는 바이낸스 월렛 내 온체인 거래 플랫폼으로, 초기 단계 코인을 집중적으로 상장하고 있다.

레볼루트, $750억 기업가치로 자금 조달

런던 네오뱅크 레볼루트(Revolut)가 코투, 그린오크스, 드래고니어, 피델리티 매니지먼트가 주도한 펀딩 라운드를 통해 투자를 유치했다고 발표했다. 구체적인 투자금은 공개되지 않았다. 이번 투자에는 엔비디아, A16Z 등이 참여했다. 밸류에이션은 750억 달러로 평가됐다.

빗썸, MON 상장

빗썸이 25일 0시 원화 마켓에 모나드(MON)를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업비트, AKT 입출금 일시중단

업비트가 아카시네트워크(AKT)의 네트워크 업그레이드로 오늘 19시부터 AKT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BTC $86,000 하회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BTC가 86,000 달러를 하회했다. 바이낸스 USDT 마켓 기준 BTC는 85,978.68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이번주 비트코인 관전 포인트 TOP4

코인텔레그래프가 이번주 비트코인 장세와 관련한 4가지 관전 포인트를 정리했다. -일봉 데스 크로스 발생 속 9.2만 달러 회복 여부 -다수 애널리스트의 9만~9.6만 달러 반등 시나리오 -장기 보유자 매도·단기 투자자 매수 전환 영향 -추수감사절 주간 PPI·PCE·GDP 등 핵심 거시지표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