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빠르고 정확한 24시간 크립토 뉴스 코인니스

샌드박스 팀, 1시간 전 $206만 SAND 바이낸스 입금

온체인 애널리스트 ai_9684xtpa가 X를 통해 "샌드박스(SAND) 팀 관련 주소(0x010으로 시작)가 1시간 전 바이낸스에 500만 SAND(206만 달러 상당)를 입금했다"고 전했다. 이어 "해당 주소는 한달 전 샌드박스 멀티시그 주소로부터 1,500만 SAND(1,052만 달러 상당)를 수령해 여러 주소로 이체했다. SAND는 지난 한 달 동안 41%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BTC $99,000 상회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BTC가 99,000 달러를 상회했다. 바이낸스 USDT 마켓 기준 BTC는 99,106.09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매직에덴, 베라체인 지원 예고

NFT 마켓플레이스 매직에덴(ME)이 베라체인 지원을 예고했다. 2월 6일 베라체인 메인넷이 출시될 예정이다.

美 열대우림 보호 NGO, BTC 비축 추진

미국 열대우림 보호 비영리재단 레인포레스트 재단(Rainforest Foundation)이 비트코인 준비금 비축을 위해 100 BTC 모금에 나선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레인포레스트 측은 "인플레이션과 달러 약세로 기존 자금은 가치를 잃고 있다. 우리는 마이크로스트래티지 등이 BTC를 재무제표에 추가한 것을 보고 영감을 받았고, 그 모델을 비영리 부문으로 옮기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미 증시 3대 지수 혼조 출발

미 증시 3대 지수가 혼조 출발했다. S&P500: -0.22% 나스닥: -0.59% 다우: +0.03%

온체인 실물자산 86%, 이더리움 기반

언폴디드는 "온체인 상의 실물자산 86%가 이더리움, 이더리움 레이어2 기반"이라고 전했다.

그레이스케일, 라이트코인 현물 ETF 전환 신청

암호화폐 속보 X 계정 솔리드인텔(@solidintel_x)에 따르면, 암호화폐 자산운용사 그레이스케일이 뉴욕 증권거래소(NYSE)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자사 라이트코인(LTC) 트러스트를 현물 ETF로 전환하기 위한 심사요청서(19b-4)를 제출했다.

블록스퀘어, 부동산 토큰화 프레임워크 출시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플랫폼 블록스퀘어(Blocksquare)가 룩셈부르크에서 부동산 토큰화 프레임워크를 출시했다. 이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면 부동산 관련 권리를 토큰화할 수 있다. EU 규제를 준수한다.

0G 재단, $8,800만 규모 생태계 펀드 출시

탈중앙화 인공지능(AI) 운영체제 제로그래비티(0G)를 개발 중인 0G 재단이 디파이, AI에이전트 프로젝트 가속화를 위해 8,800만 달러 규모 생태계 펀드를 출시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생태계 펀드에 지원하려면 기후변화, 인력 자동화, 의료 서비스 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질적인 솔루션을 제시해야 한다.

토큰 트레이딩 인프라 업체 레저봐, $1400만 시리즈A 투자유치

더블록에 따르면 토큰 트레이딩 인프라 업체 레저봐(Reservoir)가 1400만 달러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 유니온 스퀘어 벤처스 리드로 코인베이스 벤처스, 배리언트, 아키타입, 1kx 등이 참여했다.

비트코인OS, 아비트럼 통합 '확장성 강화'

비트코인 확장성 강화 프로젝트인 비트코인OS(BOS)가 공식 채널을 통해 이더리움 레이어2 프로토콜 아비트럼 원을 통합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아비트럼원은 이더리움, 비트코인을 기반으로 한 하이브리드 롤업 구조로 전환된다. 이와 관련 비트코인OS 기여자 에단 야고(Edan Yago)는 “비트코인OS는 ZK(영지식 증명) 기술을 활용해 모든 블록체인 개발자가 비트코인에서 협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통해 아비트럼은 두 개의 가장 큰 블록체인 간 경쟁 및 파편화를 종식시키고,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생태계를 하나로 통합하는 패러다임의 전환을 선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더리움 재단 220 ETH 이동...빌더 후원 추정

솔리드 인텔에 따르면 이더리움 재단이 약 1시간 30분 전 220.45 ETH($61.8만)를 다중서명 주소로 전송했다. BuidlGuidl 후원을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BuidlGuidl는 이더리움 빌더(개발자) 그룹이다.

美 연방예금보험공사, 은행 암호화폐 사업 감시 문건 공개

폭스비즈니스 기자 엘리노어 테렛에 따르면, 새로 지도부를 꾸린 미국 연방예금보험공사(FDIC)가 암호화폐 관련 서비스에 참여했거나 참여하려 했던 은행을 감시했다는 내용의 문서를 공개했다. FDIC는 암호화폐, 블록체인에 관심이 있던 24개 기관들에 일시 중지(pause), 자제를 요청하는 서한 25건을 발송했고, 이에 따라 대다수 은행들은 암호화폐 관련 서비스 추진을 중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미국 암호화폐 업계에서는 FDIC가 암호화폐 감독 관련 주요 정보를 은폐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 바 있다. 이와 관련 암호화폐에 친화적인 미국 상원의원 신시아 루미스(Cynthia Lummis)는 "FDIC가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해당 문건을 공개하게 돼 기쁘다. 이제 초크 포인트 2.0 작전(Operation Choke Point 2.0· 미국 정부가 암호화폐에 대한 규제 및 금융 압박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은 끝났다"고 전했다.

SC "BTC, 트럼프 퇴임 전 $50만까지 상승 전망"

디크립트에 따르면, 스탠다드차타드(SC)가 "비트코인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임기를 마칠 때까지 50만 달러로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스탠다드차타드는 2025년 20만 달러, 2026년 30만 달러, 2027년 40만 달러, 2028년까지는 50만 달러까지 꾸준한 상승이 나타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스탠다드차타드의 암호화폐 리서치 애널리스트 제프리 켄드릭(Geoffrey Kendrick)은 "BTC 현물 ETF는 현재까지 390억 달러의 순유입을 기록했다. 또 은행이 대차대조표에 암호화폐를 부채로 기록하게 하는 회계지침인 SAB 121 폐지도 업계에 중요한 발전이다. 향후 트럼프가 전략적 준비자산으로 BTC를 비축할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분석 "BTC, 추가 하락 가능성...실현가격 하회"

데이터 분석가 제임스 스트라텐(James Straten)이 코인데스크 기고문을 통해 "비트코인은 현재 2025년 연 평균 실현가격(realized price)인 100,356 달러를 밑돌고 있다. 지속해서 실현가격을 밑도는 경우 더 많은 매도 압력을 받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BTC 실현가격은 강력한 지지선 역할을 해왔으며, 과거 이 구간을 이탈하더라도 빠르게 회복해왔다. 현재 260만 BTC 이상이 손실을 보고 있으며, 이는 올해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플랜비 "BTC, 가파른 FOMO 단계 진입 중"

비트코인 가격 예측 모델 '스톡 투 플로우(S2F) 모델'을 고안한 유명 애널리스트 플랜비(PlanB)는 "반감기 이후 약 1년이 지난 지금, BTC는 강세장의 2번째 단계인 가파른 포모(FOMO, 시장에서 혼자만 뒤처지는 것 같은 공포감)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고 전했다.

알케미페이, 한국 결제대행사 이지피쥐 전략 투자

알케미페이(ACH)는 한국 전자금융 플랫폼 EZPG(이지피쥐)에 전략 투자한다고 밝혔다. 이 투자를 통해 한국에서 전자금융업 등록을 할 수 있게 됐다.

바이비트, 2/6 22시 BERA 현물 상장

바이비트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오는 2월 6일 22시(한국시간) BERA/USDT 현물 거래 페어를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마이클 세일러 "₿ig Strategy Day"

단일 기업 기준 비트코인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마이크로스트래티지(나스닥 티커:MSTR) 설립자 마이클 세일러가 X를 통해 "₿ig Strategy Day"라고 전했다. 오늘 마이크로스트래티지의 실적 발표가 예정돼 있다.

코어사이언티픽, 1월 256 BTC 채굴

미국 나스닥 상장 암호화폐 채굴업체 코어사이언티픽(나스닥 티커: CORE)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지난 1월 256 BTC를 채굴했다고 발표했다. 2024년 12월(291 BTC) 대비 채굴량이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