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증시 3대 지수 혼조 출발
미 증시 3대 지수가 혼조 출발했다. S&P500: -0.06% 나스닥: +0.19% 다우: -0.81%
가장빠르고 정확한
24시간 크립토 뉴스
코인니스
미 증시 3대 지수가 혼조 출발했다. S&P500: -0.06% 나스닥: +0.19% 다우: -0.81%
웨일 얼럿에 따르면, 바이비트 주소에서 익명 주소로 401,346 ETH가 이체됐다. 11.3억 달러 규모다.
헤데라 재단(Hedera Foundation)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피델리티 인터내셔널의 토큰화된 USD 머니마켓펀드(MMF)인 Archax에 투자했다고 발표했다. 해당 토큰은 영국 적격 디지털 자산 거래소 아책스에서 사용 가능하다. 앞서 아책스는 헤데라 네트워크에서 Archax 토큰을 발행한 바 있다.
최근 미국에서 금 보유고에 대한 감사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만약 미 정부가 감사를 추진할 경우 BTC로 자금이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고 암호화폐 커스터디 업체 코퍼(Copper) 리서치 책임자 파디 아부알파가 전망했다. 그는 더블록 인터뷰에서 "감사가 실제 이뤄지고, 금 ETF가 실제 금 보유량을 입증하지 못한다면 금 ETF 가격은 할인된 가격에 거래될 수 있다. 그럴 경우 ETF에서 자금이 유출돼 비트코인으로 유입될 것"이라고 말했다.
레이어1 블록체인 솜니아(Somnia)가 공식 채널을 통해 섀넌(Shannon) 테스트넷을 공식 출시했다고 밝혔다. 섀넌 테스트넷은 개발자와 사용자에게 빠른 속도, 확장성 및 비용 효율성을 개선한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환경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안정성이 향상됐고 개발자 인프라 구축, 생태계 성장 등을 지원한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솜니아의 DevNet은 100만 TPS 이상의 성능, 1센트 미만의 트랜잭션 수수료를 제공한다.
브라이언 암스트롱 코인베이스 CEO가 X를 통해 “우리는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와 소송 철회를 합의했다. SEC가 승인하면(다음주 승인될 것으로 예상됨) 민사제재금을 낼 필요 없이 소송이 기각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월스트리트저널은 "SEC가 바이든 행정부 기간 동안 제기된 암호화폐 관련 집행 조치와 함께, 코인베이스와의 소송 마무리를 위한 준비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코인베이스는 지난달 23일 암호화폐 거래는 투자자간 계약(증권)이 아니라며 중간 항소를 제기했었다.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BTC가 99,000 달러를 상회했다. 바이낸스 USDT 마켓 기준 BTC는 99,029.7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웹3 소셜 플랫폼 유엑스링크(UXLINK)가 공식 X를 통해 아시아 최대 아이돌 육성 프로젝트 중 하나인 MEET48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력을 통해 양사는 웹3 소셜과 아이돌·팬 경제 모델을 접목해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미래 발전을 위한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웹3 소셜 생태계를 공동 구축할 계획이다. 또한, 오는 3월 한국에서 공동 이벤트를 개최하고 향후 일본·태국 등 아시아 시장으로 영향력을 확대할 방침이다.
비트겟(Bitget)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풀X(PoolX)에서 파이코인(PI) 에어드롭을 실시한다고 공지했다. 총 상금풀은 391,600 PI다. 사용자는 2월 21일 17시부터 2월 28일 17시(한국시간)까지 PI를 락업해 파밍할 수 있다. 참여자는 1인당 최소 7 PI, 최대 785,000 PI까지 락업이 가능하다.
인투더블록이 X를 통해 "온체인 데이터에 따르면 276만개 주소가 평단가 97,100달러에 210만 BTC를 매수했다. 시장이 하락 압력이 직면하면 해당 가격대에서 강력한 지지를 받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FTX의 최대 채권자 그룹 대표 수닐 카부리(Sunil Kavuri)가 X를 통해 "러시아, 중국, 이집트, 나이지리아, 우크라이나 등 FTX 채권자 상환이 불가능한 지역에서 상환 청구가 상당수 발생하고 있다. 중국의 경우 전체 고객의 8%를 차지한다. 우리는 여러 옵션을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해시키그룹 산하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해시키글로벌이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24일 21시(한국시간) 벅스코인을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입출금은 오늘 16시 오픈됐다. 2월 21일 16시부터 3월 1일 1시까지 벅스코인을 첫 입금한 신규 이용자에게는 입금액만큼의 벅스코인이 보상으로 제공된다. 보상 한도는 1인당 1만 벅스코인이며 총 보상 풀은 1200만 벅스코인이다.
블록체인 투자 및 분석 플랫폼 크립토랭크가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 5곳의 1월 현물 유동성을 분석한 결과, 비트겟이 2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선물 유동성에서는 4위를 차지했다. 보고서는 "비트겟이 현물 시장에서 높은 유동성을 유지하는 것은 트레이더들에게 낮은 슬리피지와 안정적인 가격 형성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BTC, ETH, SOL 등 주요 거래페어에서 강력한 유동성을 확보하며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비트겟은 바이낸스의 현물 시장 지배력과 MEXC의 선물 시장 경쟁 속에서 균형 잡힌 성과를 보이며, 현재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주요 중앙화 거래소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고 설명했다.
해시키그룹 산하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해시키글로벌이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OM 무기한 선물을 상장했다고 공지했다. 최대 20배 레버리지를 지원한다. 거래 수수료는 면제된다. 해시키글로벌은 지난 1월 16일부터 일부 거래페어 대상 거래 수수료 면제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블록체인 전문 보안 업체 슬로우미스트 산하 플랫폼 미스트트랙이 X를 통해 "테더가 11개 트론 기반 USDT 주소와 7개 이더리움 기반 USDT 주소를 동결했다"고 전했다.
암호화폐 자산운용사이자 비트코인 현물 ETF 발행사 비트와이즈의 최고투자책임자(CIO) 매트 호건이 CNBC 인터뷰에서 "XRP ETF에 대한 투자자 수요가 매우 많다. XRP는 수년에 걸쳐 강력한 커뮤니티를 유지해왔고 중앙화 거래소 내 거래량도 상당하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현재 행정부 하에서 암호화폐에 대해 수용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규제 환경의 변화가 XRP나 SOL 등 알트코인 ETF 승인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주요 거래소에서 지난 1시간 1.02억 달러 규모의 선물 포지션이 강제 청산됐다. 거래소 중에서 HTX(구 후오비)에서만 5410만 달러가 청산됐다. 24시간 기준으로는 3.54억 달러 규모의 선물 포지션이 강제 청산됐다.
우블록체인에 따르면 미국 래퍼 칸예 웨스트(Kanye West)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밈코인 TRUMP를 모방해 YZY 밈코인을 출시할 계획이다. YZY 토크노믹스에 따르면 YZY 전체 공급량의 70%는 칸예 웨스트 본인에게, 10%는 유동성 공급에, 20%는 투자자에게 할당된다.
빗썸이 제타체인(ZETA) 네트워크(메인넷) 업그레이드 지원에 따라 2월 24일 오후 6시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BNB체인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2월 25일(현지시간) BNB 스마트체인이 파스칼(Pascal) 하드포크 업그레이드를 진행, 이더리움과의 호환성과 네트워크 보안을 대폭 개선한다고 밝혔다. 메인넷 업그레이드는 3월 중순 진행될 예정이다. 이번 업그레이드를 통해 이더리움 펙트라 업그레이드에서 제안된 EIP-7702(월렛 개선 목표) 스마트 컨트랙트 월렛을 지원하고 보안 및 암호화 기능을 향상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