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비트, SIGN 상장
업비트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사인(SIGN)을 원화, BTC, USDT 마켓에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구체적인 상장 시점은 충분한 유동성 확보 이후 공지될 예정이다.
가장빠르고 정확한
24시간 크립토 뉴스
코인니스
업비트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사인(SIGN)을 원화, BTC, USDT 마켓에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구체적인 상장 시점은 충분한 유동성 확보 이후 공지될 예정이다.
무브먼트(MOVE) 재단이 디파이 인센티브 캠페인 '디파이 스프링(DeFi Spring)'을 진행한다고 전했다. 이번 캠페인은 무브먼트 메인넷 유동성과 디파이 활성화를 목표로 하며, 최대 2.5억 MOVE를 인센티브로 지급한다. 유저들은 유동성 풀, 탈중앙화 거래소, 암호화폐 대출 플랫폼 등 다양한 무브먼트 생태계 내의 디파이를 사용하고 보상으로 MOVE를 받을 수 있다. 한편 이와 함께 코르누코피아 캠페인 자산 락업 해제도 진행된다.
암호화폐 핀테크 업체 뱅케라(Bankera) 설립자들이 ICO를 통해 모금한 자금을 빼돌려 부동산 매입에 사용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보도했다. 국제 탐사보도 전문매체인 조직 범죄 및 부패 보고 프로젝트(OCCRP) 보고서에 따르면 뱅케라 설립자들은 2018년 BNK 토큰 ICO를 통해 모금한 1.14억 달러 중 절반 가량을 바누아투 은행으로 이전했으며, 해당 은행을 통해 대출을 받아 프랑스와 리투아니아 부동산 매입에 사용했다.
미결제약정 기준 세계 3대 암호화폐 선물 거래소 내 최근 24시간 BTC 무기한 선물 롱·숏 포지션 비율은 다음과 같다. 전체 거래소: 롱 50.04% / 숏 49.96% 1.바이낸스: 롱 50.97% / 숏 49.03% 2.OKX: 롱 46.16% / 숏 53.84% 3.바이비트: 롱 49.66% / 숏 50.34%
580만 달러 해킹 피해를 입은 솔라나 디파이 프로토콜 루프스케일이 오늘 해커로부터 214만 달러를 회수했다. 루프스케일은 X를 통해 "오늘 오전 2~3시경(현지시간) 14,463 WSOL(214만 달러)이 루프스케일 지갑으로 반환됐다. 이는 어제 반환된 5,000 WSOL(74만 달러)과 별도로 추가 회수된 물량"이라고 전했다. 앞서 루프스케일에서 자금을 탈취한 해커가 자금 반환 의사를 전했으며, 루프스케일은 탈취금 90%를 반환받고, 나머지 10%는 화이트햇 보상으로 해커에게 지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바이비트는 4월 29일 19시 MILK를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수이(SUI) 기반 유동성 스테이킹 프로토콜 해달(Haedal)이 자체토큰 HAEDAL의 토크노믹스를 공개했다. 총 공급량은 10억개이며, 이중 초기 공급량은 19.5%다. 토큰의 55%는 생태계 인센티브에, 10%는 유동성 펀드에, 15% 투자자에, 20%는 팀 및 어드바이저에 할당된다. HAEDAL 에어드롭 클레임은 오늘 21시부터 가능하다.
온체인 애널리스트 ai_9684xtpa가 "약 1시간 전 유니체인으로 150만 UNI(812만 달러)를 이체한 주소와 6시간 전 OKX로 30만 TRUMP(440만 달러)를 입금한 주소는 모두 링 프로토콜 주소인 것으로 확인됐다. 링프로토콜이 과거 컨티뉴 캐피털 및 컴벌랜드로부터 투자를 유치한 바 있어 표기 혼동이 있었다"고 전했다. 앞서 ai_9684xtpa는 컨티뉴캐피털과 컴벌랜드 DRW가 주소가 각각 유니체인 및 OKX로 150만 UNI, 30만 TRUMP를 입금했다고 전한 바 있다.
파사이드 인베스터에 따르면 4월 28일(현지시간) 미국 BTC 현물 ETF에 약 5.9억 달러(약 8484억원)가 순유입됐다. 7거래일 연속 순유입이다. 블랙록 IBIT에서만 9억 7090만 달러가 순유입됐다. 반면 피델리티 FBTC에 8690만 달러, 비트와이즈 BITB에 2110만 달러, 아크인베스트 ARKB에 2억 2630만 달러, 반에크 HODL에 270만 달러, 그레이스케일 GBTC에 4270만 달러가 순유출 됐다. 나머지 ETF에는 순유출입이 없었다.
테더 공동창업자 리브 콜린스(Reeve Collins)가 두바이에서 코인텔레그래프와의 인터뷰를 통해 "현재 달러화 스테이블코인이 암호화폐와 실물자산(RWA) 토큰화 시장을 주도하고 있지만 향후 머니마켓펀드, 원자재, 금 등 다양한 자산이 스테이블코인 담보로 활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현재 스테이블코인은 암호화폐 시장에서 달러의 패권을 지켜주는 역할을 하고 있지만, 앞으로는 미 국채보다 수익률이 높은 머니마켓펀드와 같은 담보 기반 스테이블코인이 시장에서 우위를 차지할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파사이드 인베스터에 따르면 4월 28일(현지시간) 미국 이더리움(ETH) 현물 ETF에 총 6410만 달러(약 921억원)가 순유입됐다. 3거래일 연속 순유입이다. 블랙록 ETHA에만 6750만 달러가 순유입됐다.
암호화폐 트레이딩 전문 기업 컴벌랜드 DRW 주소가 5시간 전 OKX에 30만 TRUMP를 입금했다고 온체인 애널리스트 ai_9684xtpa가 X를 통해 전했다. 약 440만 달러 상당이다.
블록체인 스타트업 전문 투자사 컨티뉴캐피털(Continue Capital) 추정 주소가 약 30분 전 150만 UNI(812만 달러)를 유니체인으로 이체했다고 엠버CN이 전했다. 유니체인은 유니스왑이 새로 출시한 레이어2 네트워크다. 해당 기관은 유니스왑 생태계 핵심 참여자로, 현재 9.42억 달러 규모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이 가운데 1.62억 달러는 유니스왑 V4에서 유동성 공급풀(LP)로 운영되고 있으며, 1.19억 달러는 유니체인에서 유동성 인센티브 프로그램에 사용되고 있다.
핀테크 기업 넥스트 제너레이션(Next Generation)이 시드 투자 라운드에서 500만 달러 투자를 유치했다고 경제 전문 미디어 비비즈(bebeez)가 전했다. 구체적인 투자자 정보는 알려지지 않았다. 투자금은 전통 금융(TradFi)과 디지털 금융 생태계를 연결하는 블록체인 기반 B2B 결제 플랫폼 개발에 사용될 예정이다.
최근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및 청산 비율은 다음과 같다. BTC 청산 규모: $5375만, 청산 비율: 숏 61.78% ETH 청산 규모: $4517만, 청산 비율: 롱 59.3% SUI 청산 규모: $1012만, 청산 비율: 롱 52.96%
빗썸이 오늘 18시 AI16Z를 원화 마켓에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고래 투자자 또는 스테이블코인 USDe 발행사 에테나(ENA)랩스로 추정되는 주소가 5시간 전 1394만 ENA를 바이낸스에 입금했다고 스팟온체인이 전했다. 약 466만 달러 상당이다. 해당 물량은 3일 전 에테나랩스 컨트렉트 주소에서 언락된 물량으로 나타났다.
이더리움(ETH) 재단이 리더십 구조를 개편, 경영진과 이사회 간 책임을 분리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이에 따라 이사회는 이더리움의 비전을 설정하고, 경영진은 비전의 전략적 실행을 담당할 예정이다. 새 이사회는 경영진 임명 및 해임 권한을 가지며, ▲이더리움 생태계 관련 기술적 지침 제공(비탈릭) ▲재단 비전 및 외부 커뮤니케이션 총괄(미야구치) ▲법률 및 규제준수(스토르슈네거) ▲이사회와 경영진 간 소통(왕샤오웨이) 등의 역할을 할 방침이다. 한편 경영진은 공동 집행이사인 왕샤오웨이와 토마즈 스타냑을 필두로 검열 저항성, 오픈소스 혁신, 프라이버시, 보안 강화에 주력할 계획이다.
암호화폐 전문 금융 서비스 기업 갤럭시디지털 추정 주소가 8시간 전 코인베이스에 23,900 ETH(4252만 달러)를 추가 입금했다고 블록체인 분석업체 룩온체인이 전했다. 앞서 해당 주소는 4월 들어 코인베이스에 총 61,862 ETH(9838만 달러)를 입금한 바 있다.
비트겟이 한국시간 기준 4월 29일 19시 MILK를 이노베이션, 디파이, LSD 존에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아울러 29일 19시부터 5월 6일 19시까지 193.1만 MILK 규모 캔디밤 이벤트도 함께 진행된다. 이 기간 MILK를 입금한 신규 이용자에게 에어드롭 보상이 차등 지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