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빠르고 정확한 24시간 크립토 뉴스 코인니스

트럼프 "관세 발표 후 뉴욕 증시 폭락, 예상했던 일... 금리 인하 선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인터뷰를 통해 관세 조치에 대한 시장 반응은 예상한 대로라고 말했다. 그는 "상호관세 발표로 뉴욕 증시가 폭락한 것은 예상됐던 일이다. 미국 경제에는 여러 문제가 있었다. 우리는 수술을 받았고, 이제 안정되기를 기다릴 것"이라며 "다른 나라가 놀라운 것을 제공한다면, 관세 협상 의향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금리인하를 선호한다"고 강조했다.

외신 "제미니, 마이애미 사무실 임대 계약... 미국 오피스 확장"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뉴욕 연방법원에 제미니 트러스트에 대한 집행조치의 잠재적 해결책을 모색할 의향이 있다며 해당 사건에 대해 60일 연기를 요청한 가운데, 제미니가 플로리다주 마이애미에 위치한 사무실 임대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제미니는 유럽과 뉴욕에 사무실을 두고 있다. 블룸버그 통신은 제미니가 5월 내 마이애미로 사무실을 확장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SEC와의 집행소송이 막바지에 이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비트와이즈 임원 "BTC 연말 목표가 20만 달러 유지"

암호화폐 자산운용사 비트와이즈 리서치 애널리스트 라이언 라스무센(Ryan Rasmussen)이 디크립트와의 인터뷰에서 "비트코인의 올해 연말 가격 목표가를 여전히 20만 달러로 예측한다"고 말했다. 그는 "시장이 미국의 관세 조치로 혼란을 보이고 있다. 이후 이러한 혼란이 안정되면 위로 치솟는 것을 보게 될 것"이라며 "일부 관세가 철회될 것으로 생각한다. 뿐만 아니라 올해 금리 인하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미국의 비트코인 전략적 비축, 규제 변화 등 최근 몇 달 동안 엄청난 뉴스가 쏟아졌다. 관세에 대한 두려움만 아니였으면 비트코인은 이미 15만 달러를 돌파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 증시 3대 지수 하락 마감

미국 증시 3대 지수가 하락 마감했다. S&P500: -4.84% 나스닥: -5.97% 다우: -3.98%

1시간 동안 현물 거래소로 5,322억원 BTC 입금

크립토퀀트에 따르면 4,371.46 BTC(5,322억원)이 1시간 동안 여러 현물 거래소로 입금됐다. 커스터디를 지원하는 거래소의 경우 대량 입금은 커스터디 고객의 입금일 확률이 있다. 1. Coinbase_prime 2,967 BTC (67%) 2. Coinbase_advanced 1,304 BTC (29%) 3. Bitstamp 70 BTC (1%)

BTC 채굴자 리저브, 수년래 최저치 기록

3일(현지시간) 기준 비트코인 채굴자들의 리저브(준비금)가 181만 BTC를 기록, 수년래 최저치를 기록했다고 크립토포테이토가 보도했다. 매체는 "BTC 채굴자 리저브는 수개월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최근 들어 가장 강한 매도세가 나타나고 있다. 현재까지는 이 같은 움직임이 BTC 가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개인 투자자 수요가 약화될 경우 매도 압력이 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2.5억 USDC 신규 발행

웨일 얼럿에 따르면, 2.5억 USDC가 USDC 트레저리의 주소에서 신규 발행됐다.

외신 "프라임 브로커 히든로드, 암호화폐 기업과 인수 협상 중"

프라임 브로커(투자 회사 등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 기관) 히든로드(Hidden Road)가 암호화폐 기업으로부터 인수 제안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고 코인데스크가 보도했다. 현재 인수 관련 협상이 진행 중으로 성사 여부는 불투명하다. 업계 관계자는 히든로드가 최근 1년 동안 크립토 벤처캐피털 드래곤플라이 캐피털(Dragonfly Capital) 등 투자자로부터 약 5000만 달러의 자금을 유치했으며, 투자사 중 한 곳이 히든로드에 인수를 제안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7,999 BTC 이체... 코인베이스 → 익명

웨일 얼럿에 따르면, 코인베이스 주소에서 익명 주소로 7,999 BTC가 이체됐다. 6.6억 달러 규모다.

8,022 BTC 이체... 코인베이스 → 익명

웨일 얼럿에 따르면, 코인베이스 주소에서 익명 주소로 8,022 BTC가 이체됐다. 6.6억 달러 규모다.

미 SEC, 피델리티 SOL ETF 신청 접수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피델리티(Fidelity)의 SOL ETF 신청서(S-1) 접수를 공식 확인했다고 언폴디드가 전했다.

美 일리노이주, 코인베이스 스테이킹 소송 취하 예정

미국 일리노이주가 켄터키주, 버몬트주, 사우스캐롤라이나주에 이어 코인베이스 스테이킹 서비스와 관련된 소송을 취하할 예정이라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앞서 코인베이스 최고법률책임자(CLO) 폴 그레왈은 소 취하와 관련해 "스테이킹 서비스가 증권이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하는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美 SEC TF, 블랙록과 암호화폐 ETF ‘현물 환매’ 논의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산하 암호화폐 태스크포스(TF)가 이번 주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BlackRock) 대표단과 회동을 갖고, 블랙록이 운용 중인 암호화폐 ETF의 현물 환매(in-kind redemptions) 구조 허용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크립토인아메리카 진행자 엘리노어 테렛이 X를 통해 전했다.

리퍼블릭, 캐나다 암호화폐 플랫폼 INX 인수 예정

투자 플랫폼 리퍼블릭(Republic)이 캐나다 소재 디지털 증권 및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INX를 6,000만 달러에 인수할 예정이라고 코인데스크가 보도했다. 앞서 리퍼블릭은 2023년 INX 지분 9.5%를 확보한 바 있으며 이번 인수가 마무리되면 INX의 경영과 운영에 본격적으로 참여할 계획이다.

美 나스닥 지수 장중 4%대 하락

미국 증시 나스닥 지수의 장중 하락폭이 4.64%까지 확대됐다. 현재 S&P 500지수는 3.53%, 다우 지수는 2.77%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0x DEX 애그리게이터 마차, 솔라나로 확장

0x DEX 애그리게이터 마차(Matcha)가 크로스체인 지원과 함께 이더리움 호환 블록체인에서 솔라나로 네트워크를 확장했다고 더블록이 보도했다. 이에 따라 마차는 단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SVM 및 EVM 호환 블록체인에서 거래를 지원하는 DEX 애그리게이터 중 하나가 됐다는 설명이다. 또한 사용자의 밈코인 러그풀 방지를 위해 악성 토큰 차단 기능을 도입했다.

키르기스스탄, 자오창펑과 블록체인 MOU 체결

키르기스스탄 대통령 산하 국가투자청(National Investment Agency)이 바이낸스 공동 창업자 자오창펑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우블록체인이 전했다. 이번 협력은 블록체인 및 디지털 자산 분야의 인프라 구축, 기술 지원, 전문 컨설팅, 교육 프로그램 등을 포함한다. 키르기스스탄 대통령은 "이번 협약을 바탕으로 키르기스스탄은 블록체인 산업에 적극적으로 뛰어들 것"이라고 밝혔다.

자오창펑, 정부 대상 블록체인 자문 활동 진행중

자오창펑 바이낸스 공동 설립자가 일부 국가 정부를 대상으로 암호화폐 규제 프레임워크와 블록체인 솔루션 관련 자문하고 있다고 X를 통해 밝혔다. 그는 "공식적, 비공식적으로 일부 정부에 암호화폐 규제 체계와 행정 효율을 위한 블록체인 도입 방안에 대해 조언하고 있다. 블록체인을 공공 부문에 확대 적용하는 작업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고 덧붙였다.

1년 휴면 BTC 고래, 바이낸스서 $3770만 BTC 출금

룩온체인에 따르면, 최근 1년간 휴면 상태를 유지했던 한 비트코인 고래 지갑이 약 2시간 전 바이낸스에서 460 BTC를 출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약 3770만 달러 규모다.

미 상무부 장관 “트럼프 관세 조치 철폐 불가능"

외신에 따르면 미국 상부무 장관 하워드 루트닉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조치를 철폐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대통령은 다른 국가가 관세 및 비관세 장벽 문제를 해결할 경우메나 협상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