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빠르고 정확한 24시간 크립토 뉴스 코인니스

블룸버그 "미국발 관세폭탄에 결국 무릎 꿇은 비트코인"

블룸버그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 관세 카드를 처음 꺼내들었을 때 다른 자산군과 달리 디지털 자산은 저항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로 인해 기술주와는 다른 매력을 가질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졌으나, 간밤 미국 관세폭탄 이슈에 결국 비트코인도 무릎을 꿇으면서 기대감이 꺾였다"고 평가했다. 매체는 "특히 아시아 시장에서 비트코인 급락세가 뚜렷하게 관측되고 있다. 간밤에 비트코인은 77,077 달러까지 하락했고, 이더리움도 1,538 달러까지 내려가 2023년 10월 이후 일봉 기준 최저치를 기록했다. 코인 글래스 데이터를 보면 지난 24시간 동안 무기한 선물 시장에서 7.45억 달러 규모의 롱(공매수) 포지션이 강제 청산됐다. 이는 지난 6주 동안 가장 큰 규모"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암호화폐 프라임 브로커리지 업체 팔콘엑스의 아태지역 파생상품 책임자 션 맥널티(Sean McNulty)는 "옵션 시장을 보면, 비트코인에 대한 매도세가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 비트코인의 주요 지지선은 75,000 달러, 이더리움은 1,500 달러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빗썸, MAPO 입출금 일시 중단

빗썸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오는 4월 8일 10시(예정) 맵프로토콜(MAPO) 의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지원으로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이번 주 토큰 언락 일정...$1.6억 CHEEL 등

토크노미스트에 따르면, 이번 주(4/7~4/13) 언락되는 주요 토큰 물량은 다음과 같다. TNSR: 4/9 00:00, 약 1억 2000만개 언락, $1402만, 총 유통량의 35.86% SAGA: 4/9 17:00, 약 1억 3333만개 언락, $3299만, 총 유통량의 118.52% MOVE: 4/9 21:00, 약 5000만개 언락, $1580만, 총 유통량의 2.04% APT: 4/12 17:00, 약 1131만개 언락, $4920만, 총 유통량의 1.87% AXS: 4/12 22:10, 약 909만개 언락, $2236만, 총 유통량의 5.67% CHEEL: 4/13 09:00, 약 2081만개 언락, $1.6억

아서 헤이즈 "트럼프 지지층, 주식 별로 안 사...관세 정책 강행 원동력"

아서 헤이즈 비트멕스 공동 설립자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지지층 상당수는 금융 자산을 많이 보유하지 않는다. 주식 보유자와 미보유자 간에는 꽤 인식 차이가 크다고 생각한다. 트럼프는 자신의 지지층에는 인기가 있다고 확신하고 관세 정책을 밀어붙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X를 통해 전했다.

이번주 주요 글로벌 거시 일정

이번주 주요 글로벌 거시 일정은 다음과 같다. (한국시간 기준) -4/9 0300 미국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 메리 데일리 연설 -4/10 0130 미국 리치먼드 연은 총재 토마스 바킨 연설, 0300 FOMC 회의록, 2130 미국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주간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 2230 미국 댈러스 연은 총재 로리 로건 연설 -4/11 0100 미국 시카고 연은 총재 오스탄 굴스비 연설, 2130 미국 3월 생산자물가지수(PPI) -4/12 0000 미국 뉴욕 연은 총재 존 윌리엄스 연설

알트코인 시즌 지수 17

가상자산 종합 정보플랫폼 코인마켓캡의 '알트코인 시즌 지수'가 17을 기록했다. 알트코인 시즌 지수는 시가총액 상위 100개 코인(스테이블·랩트 코인 제외)과 비트코인 간 가격 등락률을 비교해 책정된다. 상위 100개 코인 중 75%의 상승률이 지난 90일 동안 비트코인 상승률보다 높으면 알트코인 시즌, 반대의 경우 비트코인 시즌으로 판단한다. 100에 가까울수록 알트코인 시즌으로 본다.

UFC 전설 '맥그리거' 밈코인, 흥행 실패에 판매금 전액 환불

전 UFC 챔피언이자 아일랜드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한 코너 맥그리거가 출시한 밈코인 REAL이 프리세일에서 40만 달러를 모금하는데 그쳤다고 더블록이 전했다. 최소 모금액 100만 달러에 크게 못 미치면서 판매금은 모두 환불됐다. 앞서 맥그리거는 자신의 X 팔로워 1,000만명과 인스타그램 팔로워 4,700만명에게 밈코인 REAL을 홍보한 바 있다.

거래소, 코스피 매도 사이드카 발동…8개월 만

뉴스1에 따르면 한국거래소가 코스피 매도 사이드카를 발동했다. 8개월 만이다.

일본 총리 "필요하다면 트럼프와 회담"...닛케이 7.5% 급락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필요하다면 주저 없이 트럼프 대통령과 다시 만남을 가질 것"이라고 말했다. 닛케이225 지수는 관세 충격에 지난 주부터 급락하고 있으며, 오늘 7.5% 하락했다.

CME BTC 선물 $4,885 갭 발생...역대 두 번째

전 거래일 $84,475에 마감했던 CME BTC 선물이 오늘 $79,590로 시작하면서 $4,885 상당의 갭이 발생했다. 3월 3일 발생한 최대 갭인 $10,350에 이어 사상 두 번째로 큰 갭이다.

4월 7일 코인니스 마켓 브리핑

4월 7일 오전 9시 기준 비트코인은 -6.09% 내린 $78,430에 거래되고 있다. 시가총액 TOP100 코인 중 24시간 상승률 TOP3는 KAVA(+1.02%) OKB(+0.22%) DAI(+0.01%)다.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23...극단적 공포 전환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보다 11 포인트 내린 23을 기록했다. 투심이 악화되며 공포 단계에서 극단적 공포 단계로 전환됐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공포 탐욕 지수는 변동성(25%), 거래량(25%), SNS 언급량(15%), 설문조사(15%), 비트코인 시총 비중(10%), 구글 검색량(10%) 등을 기준으로 산출된다.

보이스피싱 기승에…가상자산 거래소, '출금 지연 제도' 부활

가상자산 거래소들이 지난해 하반기부터 축소 또는 중단했던 '가상자산 출금 지연 제도'를 다시 선보인다고 뉴스1이 전했다. 이용자 편의를 위해 출금 지연 제도를 없애거나 축소했는데, 그 부작용으로 가상자산 거래소를 통한 보이스피싱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이용자보호법 시행으로 이용자 보호 장치가 마련되면서 거래소들은 출금 지연 제도를 자체적으로 폐지하거나 축소해왔다.

분석 "ETH, $1,650서 대규모 온체인 청산...하락 부추겨"

4월 7일 오전 시장 하락에서 이더리움(ETH)의 온체인 청산이 추가 하락을 부추겼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온체인 애널리스트 엠버CN은 "67,500 ETH(1.05억 달러 상당)의 대출 포지션을 가지고 있던 익명 고래의 포지션이 1,650 달러에서 청산됐다. 해당 주소는 2,160 ETH를 추가 담보로 입금했지만 ETH는 추가 하락했고, 결국 이 고래는 7,440만 규모 DAI 상환을 위해 포지션을 청산했다"고 설명했다.

美 연방 기관들, 암호화폐 보유 현황 내일까지 재무부에 보고해야

미국 연방 기관들이 재무부에 제출해야 하는 비트코인 및 기타 암호화폐 보유 현황 마감일이 내일로 결정됐다고 크립토인아메리카 진행자 엘리노어 테렛이 백악관 관계자를 인용해 전했다. 그는 "행정 명령은 보유 현황을 감사 결과로 공개할 것이 아닌 재무부에 단순 보고만 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다만 조사 결과가 언제 공개될 지는 불확실하다"고 부연했다. 당초 이번 보유 현황 공개는 4월 5일 이뤄질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

일부 고래, 시장 하락 틈타 ETH 매수 중

일부 고래 주소들이 시장 하락을 틈타 이더리움(ETH)을 매수하고 있다고 온체인 렌즈가 전했다. '7 Sibling'으로 알려진 기관 추정 주소(0x28a5로 시작)은 4,178만 달러를 25,092 ETH(평단가 1,665 달러)에 매수했고, 익명 신규 주소(0x5f177로 시작)는 813만 DAI를 4,983.56 ETH(평단가 1,631 달러)에 스왑(매수)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ETH는 13.14% 내린 1,568.55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지난 1시간 1.15억 달러 규모 선물 포지션 강제 청산

주요 거래소에서 지난 1시간 1.15억 달러 규모의 선물 포지션이 강제 청산됐다. 24시간 기준으로는 8.4억 달러 규모의 선물 포지션이 강제 청산됐다.

트럼프, 주식 하락 질문에 "때때로 약 먹어야 한다"

암호화폐 뉴스 전문 X 계정 db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근 미국 주식 하락 관련 질문에 "때때로 약을 먹어야 한다"고 말했다. 트럼프는 "시장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지는 언급할 수 없다. 중국과의 무역 적자를 해결하지 않는 이상 협상에 나서지 않을 것"이라고도 언급했다.

BTC, 올 1Q 11.7% 하락...10년 만 최악

비트코인이 올 1분기 11.7% 하락하면서 10년 만에 최악의 분기 가격 하락률을 기록했다고 코인데스크가 뉴욕디지털투자그룹(NYDIG) 데이터를 인용해 전했다. 올 1분기보다 더 가격 하락률이 컸던 연도는 2015년(-23.9%), 2014년(-37.9%), 2018년(-50.1%)으로 집계됐다. 매체는 "BTC는 1분기 가격이 부진했을 때도 다음 분기 다시 반등하기도 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BTC가 미국의 관세 정책에 따른 고립에 헤지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고 부연했다.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 "트럼프, 의도적으로 주식 시장 붕괴시킨 것 아니다"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 케빈 헤셋(Kevin Hassett)이 한 언론 인터뷰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의도적으로 주식 시장을 붕괴시킨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