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빠르고 정확한 24시간 크립토 뉴스 코인니스

BTC 현물 ETF, 7거래일만 순유출 전환

미국 BTC 현물 ETF에서 17일(현지시간) 5133만 달러(약 710억원)가 순유출됐다고 트레이더T가 전했다. 7거래일 연속 순유입 끝에 순유출세로 돌아섰다. 블랙록 IBIT에 1.5억 달러, 그레이스케일 미니 BTC에 2254만 달러가 순유입된 반면, 피델리티 FBTC에서 1.2억 달러, 아크인베스트 ARKB에서 3229만 달러, 그레이스케일 GBTC에서 6264만 달러가 빠져나갔다.

익명 고래, 美 금리 인하 발표 직후 $1.1억 ETH 매수

익명 고래 주소(0xd8d0로 시작)가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 발표 직후 암호화폐 마켓 메이킹 업체 윈터뮤트로부터 2만5000 ETH(1억1234만 달러)를 수령했다고 룩온체인이 전했다. 장외거래 매수로 추정되며 평단가는 4493 달러다. 코인마켓캡 기준 ETH는 24시간 전 대비 2.90% 오른 4626.47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싱가포르 DBS 은행, 프랭클린템플턴·리플과 토큰화 금융 서비스 제공

싱가포르 최대 은행 DBS가 미국 자산운용사 프랭클린 템플턴, 리플과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토큰화 금융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로이터가 전했다. DBS 디지털 거래소에 프랭클린 템플턴의 토큰화된 머니마켓펀드 sgBENJI 토큰, 리플의 스테이블코인 RLUSD가 상장될 예정이다. sgBENJI는 리플의 XRP 레저 체인 기반이다. DBS는 sgBENJI 기반 담보 대출의 향후 출시도 검토하고 있다.

코인베이스 CEO, 암호화폐 시장구조 법안 통과 촉구

코인베이스 CEO 브라이언 암스트롱이 X를 통해 "디지털 자산 시장 구조 법안(CLARITY) 통과를 위해 며칠간 워싱턴 D.C.에 머물고 있다. 게리 겐슬러 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처럼 투자자의 권리를 침해하려는 일이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CLARITY 법은 암호화폐 산업 규제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목표로, 증권거래위원회(SEC)와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의 규제 역할을 나눈다. 또한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암호화폐에 1933년 증권법 등록 요건을 면제한다는 내용이 골자다.

기관 투자자 SOL 매수 지속... 바이낸스서 $2839만 출금

기관 투자자의 SOL 매수가 지속되는 걸로 보인다고 룩온체인이 전했다. 약 4시간 전 팔콘엑스를 통해 바이낸스에서 11.8만 SOL(2839만 달러)가 출금됐다.

알트코인 시즌 지수 73...전일比 2포인트↑

가상자산 종합 정보플랫폼 코인마켓캡의 ‘알트코인 시즌 지수’가 전날보다 2포인트 오른 73을 기록했다. 알트코인 시즌 지수는 시가총액 상위 100개 코인(스테이블·랩트 코인 제외)과 비트코인 간 가격 등락률을 비교해 책정된다. 상위 100개 코인 중 75%의 상승률이 지난 90일 동안 비트코인 상승률보다 높으면 알트코인 시즌, 반대의 경우 비트코인 시즌으로 판단한다. 100에 가까울수록 알트코인 시즌으로 본다.

BC카드, 스테이블코인 결제 특허 출원

BC카드가 스테이블코인 결제 기술 특허를 출원했다고 아주경제가 전했다. 가맹점 결제 시 실시간 시세 데이터를 반영해 전자지갑 차감 규모를 확정하는 기술이다. 회사는 금융사·핀테크·가상자산업체와 협업해 국내 최대 가맹점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카드·QR 결제 등 기존 방식에 스테이블코인을 접목하는 인프라 구축에 나설 계획이다.

美 투자사 프레토리안, $2억 규모 폰지 사기 혐의 인정

미국 암호화폐 투자사 프레토리안 그룹 인터내셔널(Praetorian Group International)이 전 세계 9만명 이상 투자자를 상대로 2억 달러 폰지 사기를 벌인 점을 인정했다고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발표했다. 프레토리안은 투자자들에게 매일 0.5~3%의 수익을 낼 수 있다고 홍보했지만, 실제 사업 방식은 신규 투자자 자금으로 기존 투자자들에게 수익을 제공하는 식이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프레토리안은 2019년부터 2021년 10월까지 총 2억100만 달러 규모 자금을 운용했으며, CEO는 투자금으로 고급 주택과 자동차, 명품 등을 구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사건 선고는 2026년 2월 3일로 예정돼 있다.

비댁스, 원화 스테이블코인 KRW1 발행

암호화폐 커스터디 기업 비댁스가 원화 스테이블코인 KRW1을 발행하고 기술검증(PoC)을 마쳤다고 뉴스1이 전했다. 발행 기반으로는 아발란체를 택했다.

업비트, POKT 입출금 일시 중단

업비트가 포켓네트워크(POKT)의 네트워크 블록 생성 중단으로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52...중립 지속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보다 1포인트 내린 52를 기록했다. 중립 단계가 지속되고 있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공포 탐욕 지수는 변동성(25%), 거래량(25%), SNS 언급량(15%), 설문조사(15%), 비트코인 시총 비중(10%), 구글 검색량(10%) 등을 기준으로 산출된다.

피블 AI 무역 자동화 플랫폼 AION, 포스코인터내셔널 POC 통과

블록체인 프로젝트 피블(PIBBLE:PIB) 운영사인 캐러멜베이가 개발한 무역 AI 솔루션 아이온(AION)이 포스코인터내셔널과의 검증작업(POC)을 완료했다고 전했다. 이번 POC를 통해 시간 단위 업무를 분 단위로 단축시키고, 95% 이상의 문서 정확도를 달성했다는 설명이다. 피블은 블록체인과 AI를 기반으로 B2C 소셜 플랫폼과 B2B 비즈니스 솔루션 분야에서 검증된 플랫폼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

그레이스케일 CEO "GDLC ETF 전환 승인"

그레이스케일 최고경영자(CEO) 피터 민츠버그(Peter Mintzberg)가 "그레이스케일이 신청한 디지털 라지캡펀드(GDLC) ETF 전환 신청이 일반 상장 기준에 따라 거래 승인을 받았다"고 X를 통해 밝혔다. 앞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암호화폐 상장지수상품(ETF)에 대한 새로운 상장 기준을 승인한 바 있다.

불리시, 2Q 순익 $1.08억...흑자 전환

암호화폐 거래소 불리시가 뉴욕증권거래소 상장 이후 첫 실적을 공개했다. 불리시는 지난 2분기 순익 1억 830만 달러를 기록, 전년 동기 순손실 1억 1640만 달러에서 크게 개선된 실적을 거뒀다. 같은 기간 디지털자산 매출도 586억 달러로, 전년 동기 496억 달러 대비 크게 늘었다.

섬즈업, $200만 DOGE 매수

나스닥 상장 소셜미디어 마케팅 전문기업 섬즈업(Thumzup)이 750만 DOGE(200만 달러)를 매수했다고 더블록이 전했다. 앞서 섬즈업은 이달 초 DOGE 채굴기 3500대를 인수할 계획을 밝힌 바 있다.

비트코인 들고 있는 트럼프 황금 동상, 미 국회 앞에 설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비트코인을 들고 있는 황금색 동상이 17일(현지시간) 워싱턴DC 국회의사당 앞에 세워졌다고 미국 온라인 미디어 더스트리트가 전했다. 12피트 높이의 해당 설치물에 대해 제작 업체는 "'비트코인 대통령'이라고 불리는 트럼프 대통령을 기리는 작품"이라고 설명했다.

美 SEC, 새 암호화폐 ETF 상장 기준 승인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암호화폐 상장지수상품(ETF)에 대한 새로운 상장 기준을 담은 규칙 변경안을 승인했다고 언폴디드가 전했다. 이에 따라 암호화폐 ETF 상장 신청 절차가 간소화되며, 코인베이스 파생상품 거래소에서 6개월 이상 선물 거래가 이뤄진 암호화폐에 대해 별도의 심사 없이 ETF 상장이 자동 승인된다. 현재 해당 기준을 충족하는 암호화폐는 12개 종목으로, 이전에 ETF 승인 가능성이 85% 이상으로 점쳐졌던 BTC, ETH, SOL, DOGE, XRP 등이 포함된다.

미 증시 3대 지수 혼조 마감

미국 증시 3대 지수가 혼조 마감했다. S&P 500: -0.1% 나스닥: -0.33% 다우: +0.57%

BTC $116,000 상회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BTC가 116,000 달러를 상회했다. 바이낸스 USDT 마켓 기준 BTC는 116,028.3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서클, 크라켄과 USDC·EURC 활용 확대 파트너십

서클이 암호화폐 거래소 크라켄과 USDC 및 EURC 활용 확대 관련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번 협업을 통해 크라켄은 USDC, EURC 유동성 공급과 활용도를 높이고 신규 금융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크라켄 이용자들은 향후 USDC 거래 수수료 절감, 유동성 강화, 다양한 디파이·결제 활용 기회를 얻게 된다. 아울러 크라켄은 EURC 결제 지원도 시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