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물 경제와 웹3의 결합…'라부부', 위조품 범람에도 웹3 영토 확장

블록스트리트 등록 2025-07-14 17:28 수정 2025-07-14 17:35

상반기 위조품 3800만 점 적발 속 토큰 상장·실물 수출 9.6%↑
글로벌 거래소 입성하며 디지털 자산 시장 공략 中

팝마트 명동점에 진열된 라부부 인기 상품들. <br />
'↑라부부 본사, 무분별한 리셀링에 생산·판매 전면 중단' <br />
(출처=블록스트리트 최주훈 팀장)
팝마트 명동점에 진열된 라부부 인기 상품들.
'↑라부부 본사, 무분별한 리셀링에 생산·판매 전면 중단'
(출처=블록스트리트 최주훈 팀장)
中 캐릭터 브랜드 라부부(LABUBU)가 실물 상품의 폭발적 인기와 함께 가상자산 시장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실물 경제와 웹3의 성공적인 결합 사례로 평가받는 가운데, 위조품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에 중국 세관 총서가 인기 상품 라부부(LABUBU)의 진품 구별법을 공개했다.

금일 中 국무원 신문판공실에서 열린 2025년 상반기 수출입 현황 기자회견에 따르면 라부부(LABUBU)를 포함한 중국의 인형 및 동물 장난감 수출액이 올해 4월까지 전년 동기 대비 9.6% 증가한 133억 1000만 위안(한화 2조 5,649억 원)을 기록했다.

왕링쥔(王令浚) 中 세관 총서 부서장은 상반기에만 전국 세관에서 적발된 1만 1000건, 3867만 5000점의 위조 의심 상품 중 라부부(LABUBU) 가품이 대거 포함돼었으며, 세관 당국은 진품 구별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공개했다. 진품은 9개의 뾰족한 이빨을 가지고 있는 반면, 위조품은 금형 오차로 인해 7-8개의 이빨만 있는 것이 특징이다.

라부부(LABUBU) 일 봉 차트
라부부(LABUBU) 일 봉 차트

한편, 라부부(LABUBU)는 실물 상품의 성공을 기반으로 웹3 생태계로의 확장을 이뤄내고 있다. 라부부(LABUBU) 토큰은 현재 엠이엑스씨(MEXC)·비트겟(Bitget)·빙엑스(BingX)·비트마트(BitMart) 등 주요 해외 가상자산 거래소에 상장되어 활발한 거래를 보이고 있으며, 금일 오후 4시 45분 기준 0.013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라부부(LABUBU)의 사례는 실물 경제와 웹3의 성공적인 융합 모델로, 실물 상품의 인기가 토큰 생태계의 확장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내고 있다.

국내에서는 '라부부 키링'이 팝마트 매장의 베스트셀러로 자리잡았으나, 현재 서울 소재 전 매장에서 품절 상태를 보이며 품귀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실물 상품의 높은 수요는 장기적으로 라부부(LABUBU) 토큰의 가치 상승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할 수 있다.

최주훈 joohoon@blockstree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