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비트, 이더파이(ETHFI)·리졸브(RESOLV)·이니시아(INIT)·스파크(SPK) 상장

블록스트리트 등록 2025-09-19 13:15 수정 2025-09-19 13:15

업비트, 이더파이(ETHFI)·리졸브(RESOLV)·이니시아(INIT)·스파크(SPK) 상장
업비트가 금일 신규 디지털 자산 이더파이(ETHFI)·리졸브(RESOLV)·이니시아(INIT)·스파크(SPK)를 상장한다. 네 자산 모두 오후 3시 비트코인(BTC)·테더(USDT) 마켓에서 거래될 예정이다. 이더파이·리졸브·스파크는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지원하며, 이니시아는 이니시아 네트워크를 지원한다. 모두 타 네트워크를 통한 입출금은 지원되지 않는다.

이더파이(Ether.fi)는 이더리움 기반의 비수탁형(non-custodial) 유동성 스테이킹 및 리스테이킹 프로토콜이다. 사용자가 ETH를 스테이킹하면 유동성 토큰인 eETH(rebasing) 또는 weETH(non-rebasing)을 수령하게 되며, 이는 디파이 생태계에서 활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프로토콜 수준에서 자동으로 아이겐레이어(EigenLayer) 기반 리스테이킹(native restaking)이 수행되어 추가 수익과 아이겐레이어 포인트까지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이더파이 리퀴드(Liquid), 캐쉬(Cash)와 같은 서비스를 통해 추가적인 디파이 수익을 얻고 실생활과 통합되고 확장된 금융을 경험할 수 있으며 ETHFI 토큰은 스테이킹 및 거버넌스 참여 용도로 사용된다.

리졸브(Resolv)는 자본 효율적이고 탈중앙화된 스테이블 코인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프로토콜이다. 기존 스테이블 코인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온 과잉 담보 요구, 법정화폐에 대한 의존성, 중앙화 리스크 등을 해결하기 위해 듀얼 트랜치 구조를 도입하였다. 듀얼 트랜치 구조로 USR과 RLP를 활용한다. USR은 리졸브가 발행하는 스테이블 코인으로 시니어 트랜치에 해당하며, RLP는 시장 리스크 및 수익률 변동성을 흡수하는 주니어 트랜치다. RESOLV 토큰은 거버넌스 및 스테이킹 용도로 사용된다.

이니시아(Initia)는 코스모스 SDK를 기반으로 구축된 모듈형 레이어1 블록체인이다. 다양한 가상 머신(EVM, MoveVM, WasmVM)을 지원하며, 자체 합의, 실행, 데이터 가용성 계층을 통합하여 운영한다. 개발자는 이니시아 위에 미니시아라고 불리는 맞춤형 롤업 체인을 쉽게 생성할 수 있으며, IBC 프로토콜을 통해 네트워크 간 상호운용성도 확보할 수 있다. 이니시아는 풀스택 인프라를 제공함으로써 미니시아 간 유동성과 연결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며, 다양한 블록체인 환경을 지원하는 통합적 롤업 생태계를 지향한다.

스파크(Spark)는 스카이프로토콜 생태계의 디파이 인프라를 구축하는 프로젝트로 스카이프로토콜의 스테이블코인 준비금에서 자금을 차입하여 디파이(DeFi), 전통금융(CeFi), 실물자산토큰(RWA) 전반에 배분하는 역할을 한다. 현재 예치 서비스인 세이빙스(Savings), 대출 서비스인 스파크렌드(SparkLend), 다양한 체인 및 디파이 프로토콜에 유동성을 배분하는 스파크 유동성 레이어(Spark Liquidity Layer)의 세 가지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SPK 토큰은 거버넌스 참여 및 스테이킹 수단으로 사용된다.

최주훈 joohoon@blockstreet.co.kr